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수민족 교육정책에 따라 연변주 조선족 교육정책이 어떤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근원이 되는 민족에 대한 민족정체성과 본 국의 국가정체성의 조화를 위한 문화교차적 관점에서의 과경민족 교육 모델 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변주 조선족 교육정책은 학제 구성, 과목배치 및 수업계획, 이중 언어 교육 등의 체제 정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체제 정비 이후 교육과정 구성 등에 있어서는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의 조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과경민족인 연변주 조선족의 생활근거지가 중국이라는 점에서 민족정체성만을 강조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감안하고, 교육방법적 측면에서 문화교차적 성격이 부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민족정체성에 대한 객관적 사실 인지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 소재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민족문화 교육과정을 구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백두산, 도문강 등의 자연자원을 이용하거나 청산리 전투지, 명동학교, 일본간도총영사관 옛터 등 역사 문화 자원을 이용하여 조사와 연구를 전개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 with the concept of the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in China’s cross-boundary nationality area, focused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t is to determine the harmony of direction must be a priority that cross-boundary nationality is needed the harmony between the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and they should be select the ethnic identity under the Covenant within the category of national identit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objective of the national identity education in the design curriculum, and the efforts to construct a national 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are needed considering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