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의존형태소 일반화 과제(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NBMG)를 한국어와 영어로 개발하여 이중언어 사용 일반 아동, 단일언어 일반 아동,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형태소 학습 능력을 살펴보고, 집단 간 비교를 통하여 NBMG가 언어발달지연 아동 선별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참가하는 만4세 6개월-만7세 이중언어 일반 아동 30명, 단일언어 일반 아동 30명,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20명이며, 이중언어 아동에게는 한국어 의존형태소 일반화 과제(KNBMG)와 영어 의존형태소 일반화 과제(ENBMG)를 실시하였고, 단일언어 아동에게는 KNBMG만 실시하였다. 결과: 이중언어 일반 아동, 단일언어 일반 아동,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KNBMG 수행력에서 단일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이중언어 일반 아동과 단일언어 일반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또한 이중언어 일반 아동의 KNBMG점수는 한국어 수용어휘력 합산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KNBMG점수와 ENBMG점수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NBMG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선별하는데 효과적인 과제로써, KNBMG 수행력이 낮을 경우 아동의 언어발달지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중언어 아동과 언어재활사가 공유하는 한 가지 언어로 NBMG를 제작하여 아동의 언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Objectives: The standard evaluation tools widely used today cannot accurately assess the learning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For this reason, we produced the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task (NBMG) in both English and Korean to measure bilingual children’s ability to learn morphemes. Methods: The age of the subjects ranged from 4 years and 6 months to 7 years old. There were 30 normally developing Korea-English bilinguals, 30 normally developing Korean monolinguals, and 20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For the bilinguals, both Korean NBMG (KNBMG) and English NBMG (ENBMG) tests were conducted, while for the monolinguals only KNBMG was conducted. Results: First, for the KNBMG, the performance of Korean monolinguals with language impairment was noticeably poorer than bilinguals and normal Korean monolinguals. Second, for the bilingual children, there was a noticeable correlation between their KNBMG performances and REVT total scores, and between KNBMG and ENBMG performances. Conclusion: In conclusion, NBMG was proven to be an effective evaluation tool for identifying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 poor performance on KNBMG may reasonably lead to suspicion of language impairment. It further suggests that measuri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rough a task created in a single language is effective when the language is shared by the bilingual children and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