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일본 긴급지진속보의 구축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장치와 인간의 접속을 통해 구 성되는 ‘장치 한가운데서의 삶’을 부각시키려는 시도이다. 특히, 긴급지진속보 홍보포스터와 긴급지진속보 수신기에 활용되고 있는 메기 그림에 주목해서 디지털 장치와 결합된 신화적 존재를 중심으로 명제적 느낌, 감응 혹은 정동, 정보와 감정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다루었다. 연구자는 삶(생존, 생활, 생명, 생태)이 장치를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함으 로써, ‘장치 한가운데서 살아가는 방식’을 말해줄 개념으로 ‘기술 의례’와 ‘실험적 제의’를 제 안한다. 이 연구가 다루는 첫 번째 명제는 “메기는 흔들림이 오기 전에 안다”이다. 2007년 일본에 서 긴급지진속보 서비스가 개시되면서 “흔들림이 오기 전에 안다”를 내세운 ‘예보’가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부각되었다. 긴급지진속보의 연결망에 참여하는 사람과 사물은 ‘정확함과 신속함의 거래’(trade-off)라고 하는 새로운 세계상을 받아들인다. 이 세계상 에 따라 관측점, 연구소, 기상청, 철도, 공장, 학교, 가정집, 스마트폰, 사용자 협회 등 관련 집 단들이 “흔들림이 오기 전에 안다”는 가능성을 중심으로 모인다. 이 집단들은 디지털 메기와 같은 장치를 매개로 이 가능성의 느낌을 서로 감응(感應)하는 연합을 이루었다. 두 번째 명제는 “메기는 세상을 바로 잡는다”이다. 세상을 바로잡는 과정은 의례를 통한 반복과 반복을 통해 생산되는 차이를 통해서이다. 나는 이 과정을 ‘기술 의례’라고 부른다. 지진이 일어날 때마다 긴급지진속보가 발송된다. 긴급지진속보는 집단들이 행하는 형식화 를 통해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情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긴급한 정보가 초 래하는 감정(感情)을 통제하는 행위규범을 공유함으로써 사람들은 심적 부담을 분산한다. 지 진이 일어날 때마다 이러한 형식화와 이동 그리고 부담의 분배는 ‘의례히’ 반복된다.


This study highlights the ‘life surrounded by devices’, generated through association between humans and devices, by analyzing the process by which the Japanese earthquake early warning (EEW) was established. Focusing on the picture of the catfish depicted in EEW posters and devices, I explain how the propositional feeling, affect, information and emotion are organically connected. I seek to emphasize the fact that living (survival, livelihood, life, and ecology) is comprised of the connection of devices, and as such, I propose that ‘technological ritual’ and ‘experimental rite’ are two concepts that explain ‘how to live surrounded by devices’. The first proposition of this research is,“The catfish know before the quake comes.” The Japanese EEW service was launched in 2007, emphasizing the alternative approach to mitigation of earthquake disasters by means of a ‘warning’ system that ‘knows before the quake comes.’ The people and devices that conform the EEW network have come to accept that there is a ‘trade–off between reliability and promptness.’ Thus, the different observatories, laboratories, meteorological agencies, railways, factories, schools, households, smartphones, user associations, and others in the network gather around the possibility of ‘knowing before the quake comes.’ These entities are mediated through devices that act as digital catfish and conform a unity that is co-affected by this feeling of possibility. The second proposition is,“The catfish restore world order.” The process by which the world order is restored is through the differences borne out of the continued repetitions of certain rituals. I have named this process, ‘technological ritual.’ Each time an earthquake occurs, the EEW is issued. The EEW may be transferred from one place to another though the formalization of different entities’ actions. By sharing a conduct regulation to control the emotions that arise from such an emergency, peoples’ emotional burdens may also be distributed. Every time there is an earthquake, such formalization, movement and burden distributions are repeated ‘ritualistically’. The experiments of these technological rituals mediated by digital catfish go beyond mere demonstration, as they seek to test out a new world. Furthermore, the rites not only reaffirm the existing order, but also experiment with the new. For this reason, within the context of technological ritua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periment and the rite together. It can be said that ‘experimental rite’ is the process by which a new world order is created through technological rituals. Anthropologists such as myself seek to ensure the survival of humanity by depicting creative progress such as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