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군 장병들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군부대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원군에 소재한 군부대 장병 22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AMOS), Sobel test 방식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장병들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은 군부대 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하며, 군 장병이 가족에 대해 건강하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은 심리적 독립감에 정적 영향관계를 보여 군 장병이 가족에 대해 건강하게 인식할수록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건강성은 군 장병의 군부대 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군 입대로 개인의 자율성 상실과 집단규범에서의 스트레스에 따른 군 생활 부적응을 예방하고,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의 획득의 실패로 초래될 수 있는 부정적인 문제에 개입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심리상담 개입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oldiers’ self- resilience and sense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acts as an intermediary in relation to the military-service adaptations of soldiers perceived to have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Method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and Sobel test methods, data were analyzed from 229 soldiers located in Cheolwon Kun and Kwangwon Provinces. Results: The perception of having a healthy family directly affected soldiers’ adjustment to military life; however, it also indirectly affected this adjustment by virtue of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healthy family and the soldiers’ self-resilience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nclusions: A healthy family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self-resilience in the military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Such information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s designed to prevent negative issues and stress among soldi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