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김춘추와 자장의 관계를 다룬 글이다. 흔히 정치적으로는 영원한 동지도 영원한 적도 없다고들 말한다. 이는 정치에는 언제나 이해관계가 깊숙이 작동한다는 의미에서 일 터이다. 김춘추와 자장의 관계를 바로 그러한 입장에서 접근해 보려고 시도하였다. 왜냐하면 그 두 사람과 관련한 기록들이 어떤 측면에서 보면 동지적인 관계였던 듯이 보이면서도 때로는 대립하고 경쟁하는 관계였던 듯이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덕여왕이나 진덕여왕을 지지하고 지원하였다는 점에서는 동지적 입장을 취하였지만 기본적 정치 지향에서는 각기 다른 입장을 갖고 있었으므로 마침내 두 사람의 관계는 결국 파탄을 맞게 된다고 보았다. 자장이 승려로서 불교를 지배이데올로기로 삼았다면 김춘추는 그와는 다르게 유학을 새로운 정치적 이상으로 삼아 장차 신라사회를 정립해보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자장이 中古期의 舊體制를 그대로 이어가려는 보수적 입장이었다면 김춘추는 新體制를 지향해 새로운 지배질서를 구축하려는 전진적 입장을 취하였다고 진단하였다. 결국 김춘추가 즉위함으로써 두 사람의 관계는 마침내 파탄을 맞을 수밖에 없는 관계였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Chun-chu and Jajang. It is said that there are no eternal comrades or eternal enemies in politics. This means that only interests are deeply involved in politics at all times. From that perspective, this paper attempted to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Chun-chu and Jajang, because the records related to the two persons suggest that the two seem to have been in a comradely relationship sometimes but in a conflicting and competing relationship other times. For example, they took comradely stances by supporting Queen Sunduck or Queen Jinduck but different stances in basic political orientation. That is the reason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inally broke down. Jajang, as a Buddhist monk, made Buddhism a dominant ideology, while Kim Chun-chu had the idea of reestablishing a future Silla society by using Confucianism as a new political ideal. In that respect, Jajang seems to have taken a conservative stance to maintain the ancient regime of the middle ancient period, while Kim Chun-chu seems to have taken a progressive stance to establish a new order of domination by pursuing a new regime. This paper intended to prov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inally had to be destroyed by the enthronement of Kim Chun-c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