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통일 시대에 완충적 역할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를위해 고전 시가 중, 통일 신라 시대 향가를 살펴보고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통일 국가의 유구한 문화유산은 남북이 공통으로 소유하고 있는 것이며, 통일 시대에도 이를 통해 교육적 역할을 기대할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향가의 수용 양상은 체제와 역사인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체제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역사인식은 교육적 논의까지 다루고 있어 교육적 활용을 위해 후자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한 역사 교과서를 살펴보았고, 수용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았다. 남한의 역사 교과서는 통일 신라의 정통성을 인정하고 역사적 평가의 긍정적, 부정적 평가의 두 측면을 교과서에 제시 하였고, 북한은 통일신라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고려에 정통성을 부여하였기 때문에 부정적 측면으로 제시 하였다. 이로 인해 향가 수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북한 국어 교과서를 통해 향가 수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보았다. 남한은 통일 신라 전·후의 작품을 국어 교과서에 고루 실었지만, 북한은 신라 통일 전 작품만을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 교과서의 애매한 문장으로 남한 연구자에게 분류의 오류가 있었던 ‘정읍사’가 북한의 ‘교수 요강’, ‘고전 강독’의 두 책을 통해 살펴본 결과향가로 분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한정된 자료를 통해 남한과 북한의 합일점을 찾아 교육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 현재 오류가 있는 자료들은 수정보완하여 통일 교육에 완충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계속적으로 연구해보아야 할 것이다. 한 가지 제안점과 후속 연구는 통일 전 국어 교과서에 향가 수용 양상의 차이를 반영하여 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학습의 장을 마련하고 통일 시대에 발전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곧 다가올 통일을 기대하며 통일 시대의 주역이 될지 모르는 지금의 청소년들에게 통일 교육은 다양한 수용 관점을 인지하고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는 배움의 기회가 국어 교과서를 통해서도 주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coming era of re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educational buffers preventing the clash of different views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the same vein, this thesis examines Hyang-ga written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and suggests its implications to the education of reunified Korea. Silla was the first unified country founded in Korea and both of South and North Korea share its long and proud cultural heritages. This shared heritages are expected to present solutions to the anticipated educational clashes. The way to accept Hyang-ga is differ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fluenced by each of their political systems and views of history. Since the view of history includes educational discussions, the song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view. For the analysis, the histo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are covered and the different ways to deal with the history are compared. In case of South Korea, its history textbook acknowledges the legitimacy of united Silla and propos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 of view toward the nation. However, in case of North Korea, its history textbook denies united Silla and only admits the legitimacy of Goryeo so that it suggests negative perspective on united Silla. This difference of history textbooks contributes to the different ways to accept the Hyang-ga. In addition, with the Korean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different ways to accept the Hyang-ga are analyzed. While the South Korean textbook contains the various pieces of the songs written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Silla, the North Korean textbook only includes the songs written before the unification. In this course of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references, “Jeongeupsa,” which was mistakenly classified by South Korean researchers who are influenced by the ambiguous sentences of the North Korean textbook, is found to be classified as the Hyang-ga. As a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it is essential to reach to the agree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limited North Korean materials. Also, by correcting errors in the currently gathered materials, the buffers that will alleviate the clash of different educational perspectives should be developed. One suggestion for follow-up studies is to open up a forum where various opinions can be collected by applying the differences in the way of accepting the Hyang-ga to the current Korean textbook. To help today’s Korean students prepare for the upcoming reunification, using various textbook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is indispensible, rather than limiting their thoughts within a few biased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