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난 수십 년 간 공유자원의 활용관련 집합적 행동의 발현성과 지속조건 그리고 관련 메커니즘에 대해많은 연구들이 진전되고 있다. 관련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도심재생의 패러다임이 상향식 자율성 그리고 사회문화적 측면에 대한 강조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하여, 공유자원으로서의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의 의미를 밝히고, 그 과정에서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는 집합적 행동의 기능적 역학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에서 집합적 행동은 개인적 심리 측면 및 사회적 공감 측면과 순환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기능적 상보성이 상당부분 발현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콘텐츠에 대한 개인적 심리변인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관련 집합적 행동의 전제이자 정책적 함의로서 집합적 행동의 기능적 상보성 활용, 관련 당사자 자기 규제성 확대, 상향적 재생전략의 탐색과 기능적 공동체 형성 강화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Over the past few decades, related with the use of common-pool resources, many researches have been proceeded for the emergence and sustainability conditions of collective action and the related mechanism. In this context, we have noticed the change of urban regeneration paradigm into bottom-up autonomy and an emphasis on socio-cultural dimension. Thus, this research has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in urban center and to identify the functional mechanism of collective 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re appears to be the functional complementarity of collective action to a certain extent in the process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in urban center. The dimension of collective action shows circular-structural connections with pers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sympathetic dimensions. In addition, personal-psychological variables on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seem to show some differences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us, this research suggests/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the functional complementarity of collection action, the expansion of self-regulation tendencies of the interested members, and the search of bottom-up regeneration strategies and the build-up of functional communities as some preconditions of collective action and policy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