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최근 제기된 인간 정신의 자율성 문제를 심리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려는 시도다. 김광수는 김재권을 비롯한 주류 심리철학들이 정신의 자율을 부정하는 한에서 “철학적 스캔들”이라고 비판한다. 특히 김광수의 이러한 주장을 도리어 철학의 스캔들이라 주장하는 백도형에 대한 체계적인 반론을 시도한다. 최근 인공지능의 문제가 사회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몰고 올 인문, 사회, 경제적 파장은 결코 작지 않아 보인다. 강 인공지능은 과연 인간과 똑같은 감정과 의식을 가진 존재로 등장할 것인가? 그렇다면 인간의 의식이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수학적으로 계산가능하고 과학적으로 제작 가능할 것인가? 이런 일련의 문제들에 대해 철학적 물음을 제기한 현대의 심리철학은 결국 인간의 자율성 문제에 봉착한다고 김광수는 주장한다. 김광수가 보기에 행동주의, 동일론, 기능주의, 제거주의 등 모든 형태의 환원주의는 결국 인간의 자율성을 부정하는 심각한 결과에 이른다. 그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비환원적 유물론의 입장을 취한다. 논자가 약간 끌어들여 정신의 자율성 문제를 설명하고자 한 것이 김재권의 성층설과 연관하여 칸트와 하르트만의 성층설이다. 칸트는 나름 인과이율배반을 해결하여 인간의 자유를 철학적으로 확보했으며, 하르트만은 우리가 사는 사실계의 존재원리의 층이 네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성층설을 통해 자유가 존재론적으로 정당함을 제시한다.


This essay is an attempt to approach the recent issue of autonomy of human mind from a psychophilosophical viewpoint. Kwangsu Kim criticizes Jaegwon Kim’s and the other mainstream psychophilosophers’ theories as a “philosophical scandal”, as long as they deny the autonomy of mind. This study, in particular, brings forth a systematic counterargument against Dohyeong Baek who contends that Kwangsu Kim’s theory itself is a philosophical scandal. Recently, AI(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come a main concern in society. The humanistic, social, and economic ramifications of AI seem by no means small. Will strong AI ever appear as an entity with the same feeling and consciousness like human being? Then, what is human consciousness? Will it be mathematically calculable and scientifically producible? Modern psychological philosophy, having raised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these problems, is supposed to confront eventually the hard question of human autonomy, according to Kwangsu Kim. In his opinion, all forms of materialistic reductionism such as behaviorism, identity theory, functionalism and eliminativism bring about serious consequences of denying human autonomy. From his perspective, the fundamental stance of psychophilosophy is to provide scientific explanation on the naturally existing autonomy of the mind, but denying it is no more than a philosophical scandal. To overcome such a pessimistic attitude, he takes the position of the not-reductivistic materialism . I attempt to explain the autonomy of the mind in accordance with Kwangsu Kim’s proposal. In this regard, I pay attention to the ontological layertheory of Kant and Hartmann in relation to Jaegwon Kim’s individualistic layertheory. Kant secured human freedom by solving the antinomy of causation in his own accord, and Hartmann argues that human freedom is ontologically reasonable, on the basis of his layertheory which goes that our realworld’s existence principle consists of the four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