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천태대사 지의(538-597)가 천태산은거시에 직접 찬술한 『소지관』은, 『차제선문』과 『마하지관』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원돈지관에 속한다고 하거나 반대로 점차지관에속한다는 설이 예로부터 지금껏 있어왔다. 그러나 『소지관』을 재고해 보면 점차지관에속한다고도 할 수 없고 원돈지관에 속한다고도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차제선문』의 본령인 사종선(四種禪)이 『소지관』에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고 반대로 『소지관』의 기본 선관인 좌선(坐禪)과 역연대경(歷緣對境)이『차제선문』에는 아예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소지관』과 『차제선문』이 비록 구성은 같더라도 둘 사이의 선관 방향은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전반적으로 『차제선문』과 그 구성이 유사하여 흔히 점차지관이라 불리는 『소지관』의 중심 선관인 좌선과 역연대경이, 원돈지관인 『마하지관』의 본령인 십경과 십승관법을 주관하는 조직으로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소지관』이 점차지관인 『차제선문』과 그 구성은 유사하더라도 오히려 『마하지관』과 그 선관 방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소지관』의 제10증과장에 보이는 원돈설은 『법화현의』나 『마하지관』에 보이는 원돈교상과 거의 같은 것으로서 점차선이라는 『소지관』의 일방적인 소속을 부정케 하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 따라서 『소지관』의 소속을 점차지관이라 하거나 원돈지관이라 하는후대에 일방적으로 가해진 시각은 그 의미가 상실된다. 단지 지의의 중기에 반야중관 계통의 좌선과 역연대경을 체계적으로 확립한 『소지관』은, 『차제선문』의 점차선에서 『마하지관』의 원돈관으로 옮겨가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점차와 원돈의 선관 방식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Xiao Zhiguan (小止觀, The Shorter Calming and Contemplation), written by Tiantai Zhiyi (天台智顗)(538-597) when he lived on Tiantai Mountain, has sparked a controversy about whether Xiao Zhiguan (小止觀) indicates yuandun zhiguan (圓頓止 觀,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contemplation) or jianci zhiguan (漸次止觀, gradual calming/concentration and contemplation). This is because Xiao Zhiguan (小止觀) lies between Cidi Chanmen (次第禪門, The Gradual Method of Meditation) and Mohe Zhiguan (摩訶止觀,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Considering Xiao Zhiguan (小止觀), however, we can realize that it does not belong to jianci zhiguan (漸次止觀) or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for two reasons. First, in Xiao Zhiguan (小止觀), there is no mention of the four kinds of meditation (四種禪), which is the main property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Furthermore,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are fundamental meditative contemplations (禪觀) in Xiao Zhiguan (小止觀), but they are not given in Cidi Chanmen (次第禪門). For those reasons, the direction of the meditative contemplation (禪觀) of Xiao Zhiguan (小止觀)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although Xiao Zhiguan (小止觀) and Cidi Chanmen (次第禪門) are the same constructions. Second, in general,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are both considered jianci zhiguan (漸次止 觀) as they are similar to Cidi Chanmen (次第禪門), and are restructured as an organizational system focused on “ten objects” (十境) and “ten methods of contemplation” (十乘觀法) in Mohe Zhiguan (摩訶止觀). Accordingly, we can presume that Xiao Zhiguan (小止觀) is the same direction as Mohe Zhiguan (摩訶止觀) rather than Cidi Chanmen (次第禪門), though the constructions of Xiao Zhiguan (小止觀) are similar to those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of course, are not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but they are properly used in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Therefore, it would be wrong to suggest that Xiao Zhiguan (小止觀) is included in the context of jianci zhiguan (漸次止觀) or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Xiao Zhiguan (小 止觀) indicates that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we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both are based on Prajna and Madhyamaka-thought (般若中觀 思想), which is evolved in Zhiyi’s idea.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at Xiao Zhiguan (小止觀) includes ways of “gradual” (漸次) and “perfect and sudden” (圓頓) meditative contemplation (禪觀) since Xiao Zhiguan (小止觀) acts as a bridge between the “gradual meditation” (漸次坐)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and the “perfect and sudden contemplation” (圓頓觀) of Mohe Zhiguan (摩訶止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