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한 청년세대에서 나타나는 성별임금격차의 원인을 분석했다. 오하카(Oaxaca) 분해분석방법으로 「대졸자직업이동조사(GOMS)」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결과 첫째, 대졸자 남성과 여성의 인적자원의 차이는 거의 없고 인적자원이 성별임금격차를 발생시키는데 기여하는 비중은 7.1%이다. 둘째, 기업의 수요 측면에 따른 성별 분포의 차이는 임금격차를 발생시키는데 절반 이상(62.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인문, 사회계열 등과 같이 여성 졸업자 수가 많은 계열에서 나타난 고임금 일자리의 수요측면요인 성별분포차이는 남녀의 자질의 차이 보다는 여성에 대한 차별적 배제가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차등적 보상이 성별임금격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1%이다. 전문대 졸업자는 차등적 보상의 영향이 44.4%로 4년제 대졸자 집단에 비해 차등적 보상의 영향이 크다. 결론적으로 대학을 졸업한지 24개월 미만의 신규 대졸자에게서 나타나는 성별임금격차는 남녀의 자질의 차이보다는 여성에 대한 배제나 차등적 보상과 같이 차별의 효과로 볼 수 있는 측면이 더 크다. 청년세대에 나타나는 성별임금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다각적 정책이 필요하고, 정부의 청년 고용정책에는 청년세대가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단계에서부터 나타나는 고용형태 및 임금의 성별 격차를 해소하는 방향이 포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at causes the gender wage gap among young graduates currently joined labor market, referring to the GOMS data collected by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using Oaxaca decomposition method. M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little gender differences in human capital among university graduates; moreover, there is little impact of human resources over gender wage gap(7.1%). In addition, the demand factors form approximately more than half the possible factors (62.1%), which can be strongly interpreted as one of the key discrimination causes. Especially, women from Human Science and Social Science are exposed to gender exclusion, and it influences the gender wage gap. Lastly, gender wage gap initiated by gender differences in the rewards is 32.1%. In particular, the differential compensation factor of college,(i.e. two or three year or community colleges) graduates accounts for 44.4%. Consequently, the gender wage gap of young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be caused by discrimination than by the difference of human resources between men and women.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the multifaceted policy to eliminate the gender wage gap in younger generation. The employment policy for young women is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includes solving the gender gap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