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일상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여성의 학력수준에 따라 일 만족도 변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 패널조사 5차(2015년도) 자료에서 일상적 스트레스, 우울, 일 만족도의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기혼이며 자녀가 있는 직장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3가지 학력수준, 즉 고등학교 미만, 고졸, 전문대졸 이상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상생활스트레스, 우울과 일 만족도는 직장여성의 학력수준 구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이 낮게 나타났으며, 일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주요변인의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고졸미만의 대상들은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상관이 있었지만, 일 만족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학력수준이 고졸 및 전문대졸 이상인 집단에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은정적상관이 있었고, 일 만족도와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도 학력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 중 최종학력이 고졸인 여성에서만 일 만족도가 부분적인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대졸 이상의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유의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계 그리고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working women’s academic background in daily stress affecting depression of them. Women in the workplace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y (2015),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 of academic background : Under graduated high school(group 1), high school graduation(group2) and college or higher(group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level of daily stress,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Higher academic ability results in lower depression and higher the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differentiated among groups on influence that daily stress reaches depression. Specifically, the job satisfaction has shown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nly group 2,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in group 1 and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