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인간에게 정치는 생존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이자 불가피한 결과이다. 특히 폭력을 독점하는 국가의 등장 이후, 공공질서를 가능케 하는 국가의 정치행위는 인간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제도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는 국가의 정치행위를 주권자들인 국민들이 여하히 조종할 것인가라는 과제가 가장 중요한 정치적 과제일 수밖에 없다. 한편 현대 한국사회는 식민지 지배와 전쟁, 군부독재를 거치면서 오랫동안 정치적 후진성을 떨치지 못하고 있었지만,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민주화에 성공하였다. 그렇다면 현대 한국사회는 어떻게 정치적 후진성을 극복하고, 압축적 민주화를 달성할 수 있었을까? 이 논문에서는 마음과 정치질서의 관계 방식을 규명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먼저 동양종교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는 베버, 헌팅턴, 후쿠야마, 김상준 등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동양정치사상에 나타난 민본주의적 특성에 내재해 있는 민심 우선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민심 우선성이 오늘날 불교 문화권 및 유교 문화권의 정치 현실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논의함으로써 불교 및 유교의 마음 문화와 현실 정치의 이론적 연관성을 밝혔다. 이어서 2016년 촛불집회와 탄핵정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마음 문화와 정치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음과 정치질서의 관계 방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검토를 통해서 합심을 향한 마음의 동원이 자원과 가치의 동원이라는 차원에 머물러 있는 기존 사회운동론의 지평을 확장하고, 불의에 저항하는 마음을 동원하는 도덕정치의 유형을 새롭게 도출할 수 있었다.


Politics is the essential condition of survival and inescapable result for human beings who live together in the society. Since the emergence of the state which dominates collective violenc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state enlarging public orders take the supreme position of social institution which makes the biggest impact on human lives. With the regard to this importance of the political role of the state, the question of how the people, the sovereign power, does control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state becomes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task in the modern society. Korean society has been succeeded in the democratization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after colonial experience, the Korean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although it comes in a non-linear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Korean society achieves compressed democratization with overcoming political underdevelopment, by way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al mode between heart and political order. First, authors look at the priority of public opinion, in other words, collective heart, rooted in the Eastern political thought of democracy, with brief reviewing Weber, Huntington, Fukuyama, and KIM Sang-Joon who talk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ern religions and democracy. Second, we highlight the theore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Maem(heart) cultur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real politics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ith unveiling the priority of public opinion in the civilizational background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The impeachment situation and the so-called candlelight rally are introduced as an example of Korean politics where Maem(heart) culture and political activities are correlate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new type of moral politics which mobilizes collective Maem for resisting to injustice in an explanation of relational mode between Maem and politcial order,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social movement which remains that the mobilization of Maem is simply to mobilize certain resources and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