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의사소통능력 배양에 한계를 드러낸 전통적 문법 수업의 대안으로 널리 알려진 형태초점교수법의 일환인 의식고양과제로 중학교 영어 문법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의 영어 문법 및 쓰기 성취도,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중학교 3학년에서 영어 수준이 중급인 학생 66명 3개 반을 의식고양과제를 활용한 교수법으로 지도한 2개의 실험반 44명과 전통적 교수법으로 지도한 1개의 비교반 22명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하였다. 사후 영어 문법 성취도 평가에서 실험반과 비교반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 영어쓰기 평가에서 실험반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 교수법으로 지도받은 학생들의 평균 대비 유의미한 차이로 우월하게 나타나 문법의식고양과제 중심의 교수법이 영어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이 영어 학습에 대한 중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사후 설문조사에서도 실험반 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영어 문법의 필요성 및 영어 쓰기의 필요성과 관련된 영역에서 사전 인식조사와 긍정적으로 달라진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통적 영어 문법 수업에 대한 대안적 방법론의 하나로 학계에서 논의되는 형태초점기법의 하나인 문법의식고양과제가 산출활동인 영어쓰기 성취도 향상의 한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 tasks on middle school students’ grammatical gains, writing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 tasks are a kind of grammar teaching techniques based upon Focus on Form approaches. They have been proposed as alternatives to traditional explicit grammar teaching that has shown limitations in developing second/foreign languag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Sixty-six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ty-four students received grammar instructions based upon collaborative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 tasks while a control group of twenty-two students received traditional grammar instruction based on teacher-led deductive grammar explanations followed by grammar exercises. Grammar and writing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six weeks of experiment o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ean scores of the post-test in gramma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performed better with meaningful difference in their post writing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tudents. This shows that focus on form techniques based on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 tasks wer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ies compared to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methods. The survey results foun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ositively improved in their attitudes towards English learning. Results of the study cast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