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에 근거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 그리고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친사회성의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해 실시하였다. 암묵적 이론에 따른 성취와 적응의 핵심기제인 자기조절능력을 동기로서의 성취목표지향성, 사회성 발달로서의 친사회성, 발달결과로서의 학업성취와 외현화 문제를 예측하는 핵심기제로 개념화 하고 각 영역의 유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자 청소년 260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과 외현화 문제 수준, 교사보고를 통한 친사회성, 객관적 학업성취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영역인 숙달접근목표는 친사회성, 학업성취와 정적관계, 외현화 문제 수준과 부적관계가 있었고, 숙달접근목표와 학업성취, 외현화 문제의 관계를 친사회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회피목표는 친사회성, 학업성취와 부적관계, 외현화 문제 수준과 정적관계가 있었고, 친사회성이 수행회피목표와 학업성취, 외현화 행동문제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접근목표는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친사회성 및 외현화 문제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아 친사회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 발달 및 상담과 교육에 갖는 함의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externalizing problems based on implicit theory. Self-regulation is the primary mechanism that explains the link between implicit theory,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Participants included 260 adolescents and their teachers. The adolescents were surveyed on achievement goal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teachers reported on adolescents’ prosoci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revealed that a mastery approach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xternalizing problems, prosociality fully mediated both relationships. Performance avoidanc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externalizing problems, prosociality partially mediated both relationships. A performance approach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bu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either prosociality nor externalizing problems. Further implications for youth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