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2007년 이후 나타난 영화산업의 사회협약 사례를 통해 산업/업종수준 사회적 합의의 형성 및 발전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산업/업종수준의 사회적 합의에 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하였는데 본 논문은 정부가 주도하지 않았음에도 세 차례에 걸쳐 사회협약이 체결될 수 있었던 동인을 밝힘으로써 이론적 측면뿐만 아니라 실용적・정책적 측면에도 여러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로 업종수준 사회적 합의가 국가수준 사회적 합의와 확연히 다른 개념적 틀을 갖게 되며, 사회적 합의가 형성되는 데 필요한 환경과 자원, 협의구조, 의제 등에서 다른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적 합의 형성 및 발전 메커니즘을 전략적 선택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는데 국가수준의 경우 ‘약자’들의 연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업종의 경우 ‘강자’의 개입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실용적 의의로 첫째, 산업구조 분석을 통해 지배적 위치에 있는 행위주체들을 파악하고 그들을 협의구조에 개입하도록 하는 것이 사회적 합의 발전에 필요하다는 점, 둘째,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이슈와 공정경제 환경조성 및 동반성장이라는 여타 산업적 이슈가 사회적 합의에 포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영화산업의 사회적 합의 사례가 열악한 근로환경을 특징으로 하는 타 업종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three tripartite implementation agreement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e first of which was made in 2012, to identify the resources in the environment and of the actors for a social pact to form and develop, the formation process of a consultative body through actors’ strategic choices, and the mechanism for an agreement to be reached. Discourses on social pacts have been mostly on peak-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either environmental determinism or strategic choice. Both perspectives, however, share a commonality in that they take it for granted that a social pact will last and develop once it’s formed. By showing the reasons and mechanism of a series of social pacts forming without the government’s proactive rol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not only theoretical but also practical and policy aspects. In the theoretical aspec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 sector-level social pact has a clearly different conceptual framework from a peak-level social pact, and the elements such as the environment, resources, consultative body, and agenda necessary for a social pact to form have different traits for these different levels. Second, a mechanism has been presented for a social pact to form and develop at a sector level. In the practical aspec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a sector or industry is structured in a multi-level value chain, and it is necessary for a practical social pact to form to have actors at the top of the value chain participate in a consultative body. Second, a social pact on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employees cannot be dealt with separately, but should be pursued along with other industrial issues in a broader frame of nurturing an equitable environment and shared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