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노년기를 둘러싼 생명윤리 문제를, 특별히 안락사와 연명의료 결정에 중점을 두고 고찰한다. 현대의 안락사는 대개 당사자의 결정에 의한 ‘조력자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력자살을 정당화하는 근거로는 종종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환자가 처한 질병과 고통의 상황이 언급되며, 당사자가 처한 고독과 가난의 상황이 종종 조력자살을 결정하는 동기로 작용한다. 그러나 조력자살의 실행에는 당사자의 결정을 실행하는 사람의 결정과 가치판단이 개입되며, 돌봄을 사회적 짐으로 인식하게 하는 사회의 비인간화가 노년을 지내는 사람들을 조력자살로 내몰고 있음이 지적된다. 이 글은, 이에 대한 생명윤리적 전망으로, 살아있음의 의미와 고통의 의미를 성찰하고, 의료행위가 의료진-환자의 상호인격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상기하며, 생의 말기에 적절한돌봄과 배려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연명의료계획서와 호스피스· 완화돌봄이 확산될 필요가 있음을 논증한다.


This article studies bioethical problems about senescence, focusing on the euthanasia and the decision making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euthanasia is mainly understood and practised in the form of ‘assisted suicide.’ It is often justified by patient’s self-determination and his/her disease and suffering; and motivated by his/her loneliness and poverty. However, it is observed that the determination and values of ‘the assistant’ are also de facto involved in every practice of the assisted suicide; the dehumanization of the society, in which care for the elderly people is considered as a social burden, induces the elderly to a determination of assisted suicide. This article proposes a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suffering; and argues that, consider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patients, the POLST and the hospice-palliative care should be provided to the elders so that an adequate care can be given to the patients in their terminal stage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