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단원별, 차시별 학습 목표와 평가문항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지도서에서 제시 가능한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3~4학년 군 지도서에 제시된 단원목표 112개, 차시목표 274개, 평가 문항 목표 609개와 5~6학년 군 지도서에 제시된 단원목표 175개, 차시목표 257개 평가 문항 목표 486개를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와 평가 문항 목표를 분석한 결과, 지식, 탐구, 태도 영역 순으로 제시된 비율이 높았다. 특히 평가 문항 목표에서 태도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태도 영역의 경우, 단원 및 차시 학습 목표에서는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가 모두 제시 되어 있었으나 평가 문항 목표에서는 과학적 태도 영역만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관련 태도 영역의 평가 문항 예시를 개발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and evaluation objectives presented in the guidebooks for elementary teachers and developed evaluation items that teacher can utilize in their lessons. For graders 3 and 4, 112 learning objectives of unit, 274 learning objectives of lessons, and 609 evaluation objectives in teachers guidebooks were analyzed. For graders 5 and 6, 175 learning objectives of unit, 274 learning objectives of lessons, and 609 evaluation objectives in teachers guidebooks were analyzed as well. The result showed that ‘knowledge’ category has the largest percentage of both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objectives; ‘attitude’ category has the smallest percentage of both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objectives. Especially the percentage of attitude in evaluation objectives was extremely small. In case of attitude, all of science-related attitude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tific attitude, attitude toward learning science) were presented in learning objectives. However, only scientific attitude was presented in evaluation objectives in guidebooks for teachers. The examples of evaluation items were developed and its implication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