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벨레스서의 등장과정과 대중에 유통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러시아계 이민인 미로류보프가 창작한 벨레스서가 21세기에 다시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 소비에트 붕괴이후 자국중심의 역사관이 유라시아 각국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벨레스서를 통해서 20세기 초에 만들어져 2000년대에 러시아 사회에 등장한 위서를 통해 위서가 한국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20세기에 발생한 정치-사회적 현상의 일부라는 것을 밝히고, 유라시아의 공통된 현상으로서 민족주의의 발흥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 본 고의 목적이다. 러시아 뿐 아니라 다양한 유라시아의 여러 국가가 자신들의 정당성을 역사적으로 찾고 있기 때문에 유라시아에서 위서와 고고학 자료의 확대해석은 계속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21세기에 기세를 떨치는 위서를 단순하게 고대사에 대한 확대해석으로 볼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현상으로 보고 국제적으로 공동으로 연구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amines the appearanc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the Veles Book, the most representative false history document in contemporary Russia. The Veles Book was written by a Russian migrant, Mirolyubov,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During the Soviet era, this forged document was distributed among a small number of Russian migrants, and that since the 1990’s has gained widespread popularity among Russians as a result of rising nationalism among newly-founded former C.I.S. states, which have sought legitimacy from ancient history. This paper shows that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false history is not only relevant to Korean history but is part of the political-social phenomenon in contemporary Eurasia. Therefore, it requires an international joint study on the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