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에 있어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의 적용 가능성과 적용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참여적 실행연구를 도입한 한일 지역복지 실천현장에서 컨셉트 맵핑을 3차례 실시하고 컨셉트 맵핑의 적용 가능성, 적용에 따른 논점, 과제, 적용방법을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컨셉트 맵핑의 특성은 참여적 실행연구의 원칙과 부합하며 참여적 실행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활용 가능하다. 컨셉트 맵핑의 적용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라는 ‘과업지향 목표’와 참여 및 학습이라는 ‘과정지향 목표’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의사소통 및 참여의 보장, 참여자 선정, 충분한 시간 확보, 적합한 진행자 등이 적용에 있어 핵심적인 논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컨셉트 맵핑의 적용방법은 사회복지영역에서 참여적 실행연구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concept mapping o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the method of applying it in different practices. For this, three community-based practices that used concept mapping were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its applicability, discussion points and challenges of applying it, and the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ncept mapping coincide with the principles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metho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hile applying concept mapping in practice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good balance between the task goal, which 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 process goal, which is participation and mutual learning. In addition, there are important aspects that must be discussed, such as how to secur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choose participants, ensure adequate time for its application, and attain a well-trained facilitator. The application methods of concept mapping that are proposed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xpan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