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산업화, 규모화를 향해 내닫던 노동과 자본 집약적인 세계 경제의 한계는 소비적 삶에 대한성찰과 소비재의 대량 생산을 대체할 수 있는 가치를 추구하게 되었고, 이는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탈물질적 가치 체계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이에 생존이라는 극한의 상황에 직면한 국가와 도시를 중심으로 혁신, 창조담론이라는 변화에 집중한 패러다임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창조성은 기능적인 담론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짙어졌고, 진정한 창조성에 대한 가치와 실천은흐려져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가 가지는 역사성에 기반 한 정체성이 어떻게 창조적으로 재탄생되고 있는지, 창조적 학습 도시가 갖추어야 할 학습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무형의 자산과 문화가 지속적이고 가치 있는 자산으로 전환되기 위해서 어떠한 학습적 실천 프로세스가 작동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네스코 세계 창조도시로 2015 년 선정된 통영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통영에 관한 문헌조사 및 지역의 탐방과 인터뷰를통해 획득한 자료를 중심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The stream of global economy, which moves toward labor and capital intensive industrialization and scaling, has showed limits from some point. Therefore, the world introspects consumptive life and pursues the value which can replace mass production of consumer products. It is continued to enhanc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and diffusion of post-material value system. Therefore, the paradigm focusing on changes of innovation and creative discourse is rapidly spread in countries and cities who face the extreme situation of survival. However, creativity is actually spread to bureaucratic and functional discour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identity based on city historicity is reborn creatively and what developmental strategies to change intangible assets and culture to valuable assets are. For the research, researchers chose Tongyeong, an UNESCO global creative city in 2015 as an object and conducted qualitative case study with data obtained by documentary survey of Tongyeong, local visiting and int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