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desire’ in Yogācāra Buddhism. Historically, the concept of ‘the desir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the early Buddhism it was considered as one carving for the lack. It was mainly shown in view of secular. Therefore, it looks like that ‘the desire’ is regarded as one to be removed during the practice. Meanwhile, in the famous text (CE 5C), Abhidharma- kośa-bhāṣya, ‘the desire’ is described as bīja[anuśaya] arising from the past kleśa and explained as the energy to form another kleśa. Especially Sautrāntika’s bīja was described as one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ālayavijñāna, the core concept of Yogācāra Buddhism, in that text. It is explained in Yogācāra Buddhism that all the past actions are always stored as seeds(bīja), the results of language action, in ālayavijñāna. All the earthly ‘desires’ are remained in the form of seeds causing to divide the vijñāna. Especially the concept of ‘desire’ shows two aspects in Yogācāra Buddhism. In the secular world, it is described as one to form the selfish actions. Meanwhile in the state of Bodhisattva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power to lead the ordinary people to the state of Nirvāṇa. Through this demonstration, this article contends that ‘the desire’ itself is to be seen as a power to have people stay in saṃsāra or reach Nirvāṇa.


본 논문의 목적은 유식불교에서 ‘욕망’의 본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욕망'의 개념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었다. 초기 불교에서 욕망은 부족한 것을 갈망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주로 세속적 인 견지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욕망'은 수행 중 제거되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명한 불전인 아비달마구사론(阿毗達磨俱舍論) (CE 5C)에서 '욕망'은 과거 번뇌(煩惱: kleśa)에서 생겨난 종자(種子: bīja[anuśaya])이며 또 다른 번뇌를 형성하는 에너지로 묘사되어 있다. 특히, 이 불전에 의하면 경량부(經量部: Sautrāntika)의 종자는 유식불교의 핵심 개념인 알라야식(ālayavijñāna)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묘사되어있다. 유식불교의 설명에 따르면 모든 과거의 행동이 알라야식에 언어작용의 결과인 종자(bīja)로 저장되어 있다. 모든 세속적 '욕망'은 씨앗의 형태로 남아 식(vijñāna)을 분화시킨다. 특히 '욕망'의 개념은 유식불교의 두 가지 측면을 보여준다. 세속에서는 이기적 행동을 형성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반면, 보살(菩薩: Bodhisattva)의 경지에서는 평범한 사람들을 열반(涅槃: Nirvāṇa)의 상태로 이끄는 힘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논증을 통해서 본 논문은 '욕망' 자체를 사람들을 윤회(輪廻: saṃsāra)에 머물게 하거나 열반에 이르게 하는 힘으로 보아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