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맹자 철학에는 덕 윤리학으로 이해되기 어려운 요소들이 엄존하며, 따라서 단순히 양자 간의 형식적 및 외형적 유사성에 기대어 맹자의 윤리이론을 덕 윤리학으로 읽어내려는 시도는 오독이나 과도한 해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이 글은 이러한 오해 몇 가지를 바로잡으려고 시도한다. 이에 따르면, 맹자는 근본적으로 거시적이고 보편적 차원의 윤리이론을 제시하려 했으며, 그 정당화 과정에서 자신이 단순히 심리적인 주관주의자가 아니라 선험적이고 보편적인 선성(善性)의 존재를 긍정하는 의무론적 실재론자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맹자의 윤리이론은 덕 윤리학과는 근본적인 차이를 갖는다.


Scholars who make an attempt to read Mencius’s philosophy as virtue ethics have some troubles to get around the misreadings and the overinterpretations because they rely on the simple comparison leaning against formal and extern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We try to correct these misunderstandings in this paper. Mengzi tried to present fundamentally a macroscopic and universal theory of ethics, and in processing of its justification showed himself as a deontological realist which affirms human beings having a priori and universal goodness in nature, not a psychological subjectivist simply. this being so, we think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Mengzi’s ethical theory and virtue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