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 과정에서 아동이 서사 텍스트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며 어떤 전략을 사용하여 수용하는가를 통해 아동의 서사능력을 구체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두 학급의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단편 동화 「나를 데리러 온 고양이 부부」의 책 읽어주기와 간단한 문학토의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수업 결과 두 학급의 아동은 판타지 장르의 초현실적 설정에 대한 의구심을 나타내고 서사의 갑작스러운 결말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뒷이야기를 이어쓰려는 강한 동기를 나타냈다. 아동은 판타지 장르의 설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서사의 빈틈을 채우거나 시공간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이를 동화라는 장르 규범의 하나로 이해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서사의 갑작스러운 결말은 아동이 추구하는 결말과의 불균형을 야기했고 그로 인해 이어질 내용을 생각하도록 동기유발되었다. 그 결과 기존 결말을 강화하는 유형, 거부하는 유형, 이 둘을 절충하는 유형의 결말이 제출되었다. 아동 독자는 그러한 뒷이야기 이어쓰기를 통해 서사에 대한 자신의 기대와 예측을 투사하였다. 이때 텍스트가 제공하는 정보의 부족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자극하는 동인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narrative competence of the child through how the child responds to the narrative text and how to use the strategy in narrative accept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ad a short story fairy tale “Cat Couple Picking Me Up” and a brief literary discussion for 6th grade children in two classes and describe the result. The children in the two classes showed strong suspicions about the surreal setting of the fantasy genre, complained about the sudden ending of the narrative, and had a strong motivation to pursue the following story. In order to logically understand the setting of the fantasy genre, the child filled the gaps of the narrative or noticed the characteristics of chronotope. An attempt was made to understand this as one of the genre norms of fairy tales. The sudden ending of the narrative led to an imbalance with the ending that the child pursued and motivated him to think about what to do. As a result, the type of ending the existing ending, the type of denial, the end of the type of compromise between the two was submitted. Child readers projected their expectations and predictions about narrative through such following story writing. The lack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xt is the motivation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h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