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제주도 특수본풀이로 분류되는 <삼두구미본풀이>의 등장인물 ‘삼두구미(三頭九尾)’의 정체를 밝히고, 이를 통해 삼두구미와 같은 신격(神格)이 본풀이로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삼두구미가 본래 본풀이에 존재하던 신격이 아니라, 지귀(地鬼)의 형상에 ‘삼두구미’라는 기표가 덧씌워졌다는 전제 하에 <삼두구미본풀이>에 접근하고자 한 것이다. 굿법에 의하면, 삼두구미는 <삼두구미본풀이>가 아니라 <용놀이>에 등장하는 ‘용’이다. <용놀이>에 등장하는 삼두구미는 복수(複數)의 머리와 꼬리를 지닌 악룡으로 굿판에 액(厄)과 부정(不淨)을 주며, 잡신이지만 신당(神堂)에서 놀려진다는 점에서 당신(堂神)으로서의 성격도 가진다. 삼두구미는 단순히 지귀가 아니라 ‘용’과 같은 신격으로 <용놀이>에서 다루어진다. <용놀이>의 삼두구미는 지귀가 가지는 사신(蛇神)의 형상을 매개로 본풀이로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사신설화의 통시적 변모 양상을 살펴보면, 사신에게 제물로 바쳐지는 ‘처녀의 죽음’ 자체가 문제시되면서 ‘사신과 인간의 화합’을 통해 집단의 풍요가 보장되었던 구도가 ‘사신과 인간의 대결’로 변화한다. 이때 ‘대결형’ 사신설화에서 강제로 처녀를 탈취하는 사신의 형상은 <삼두구미본풀이>에서 지속적으로 여성을 요구하는 지귀의 모습과 연결된다. 강제로 처녀를 제물로 요구하는 지귀의 모습과 더불어 그가 관장하는 공간적 속성 및 부신적 면모를 고려했을 때 지귀는 대결형 사신설화에 등장하는 사신의 의미망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용’으로 등장하는 <용놀이>의 삼두구미와 <삼두구미본풀이>에 등장하는 지귀의 접점이 마련되는 지점으로, 삼두구미와 지귀의 존재는 ‘사신’을 매개로 관념상 연속선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두구미본풀이>에서 삼두구미는 지속적으로 서사에 노출되지 않는다. 삼두구미로서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은 제한적인데, 이는 <용놀이>의 삼두구미라는 기표를 끌어들여서 본풀이에 등장하는 지귀의 특정한 면모를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삼두구미본풀이>에서는 삼두구미라는 기표를 끌어들임으로써 지귀가 땅을 관장하는 신격임에도 불구하고 산자들에게 부정(不淨)을 준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따라서 모시기보다는 퇴치해야하는 대상임을 명시한다. 이를 통해 이장의 풍습을 다루는 자리에서 지귀가 산자에게 동티를 내릴 수 있다는 악신적 면모를 강조하고, 지귀를 산자의 세계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의식을 ‘삼두구미’라는 기표를 통해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guring out the identity and substance of Samdugumi(three heads and nine tails) and considering the context of acception of this character to the myth of Jeju Island titled <Samdugumi Bonpuri>. Samdugumi is an ambiguous existence which has three heads and nine tails. This is not the typical character that we are usually able to find in Korean literary pieces. Samdugumi is found in <Dragon play> of Jeju island as a dragon. The dragon is described as an evil character so human being confronts some specific situation that they should exterminate Samdugumi in that play. Though this character is a godlike being, the only thing Samdugumi gives people is misfortune and ill luck. In <Samdugumi Bonpuri>, there is also an uncertain character named the god of earth. Because the god of earth is understood as a drag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tales of snake god, Samdugumi and the god of earth are able to be linked as an even being. A shaman in Jeju Island puts the signifier “Samdugumi” on the name of god of earth, thereby the god of earth can start to appropriate the negative power of Samdugumi, the evil dragon. Therefore, when people in Jeju Island try to move the grave to the other place, they are afraid of Samdugumi and try to slay or avoid it in order to prevent themselves from misfortune. That is not only because Samdugumi is the god of earth but also because Samdugumi is a dragon who gives living people the negative i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