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강점기 가족을 잃거나 생계유지가 힘들게 된 소녀들은 남의 집에 들어가 아이를 돌보거나 살림을 보조하는 식모가 되는 일이 많았다. 국가가 부재한 상황에서 소녀들을 구제해 줄 사회적 시스템이 전무하였기 때문이다. 일하는 소녀를 둘러싼 담론은 여러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겠지만 대상과 동일한 연령대를 독자로 상정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아동문학에 집중해볼 필요가 있다. 동화에는 식모살이 소녀의 비참한 모습이 자주 등장하여 독자에게 연민을 자아내는데 여기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일하는 소녀와 그렇지 않은 소녀 또는 일하는 소녀와 일하는 소년이 드러날 때 상이한 점이 있다는 것이다. 서술방식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계급과 젠더에 따라 작가의 접근 태도, 의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생계 걱정 없는 소녀들의 순진무구와 백일몽은 일하는 소녀의 비화悲話와 대비되며, 일하는 소년의 주체적이고 자립적인 태도는 일하는 소녀의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모습과 대조적이다. 소녀는 일을 하든 그렇지 않든 현실대응력이 떨어지고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로 재현되는 반면, 소년은 소녀보다 능동적인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다는 사실은 당대 사회의식구조를 반영한 결과이다. 이것은 식민지상황에서 국민의 비참한 현실을 드러내고 구제책을 호소할 때에는 소녀의 삶을 활용하고, 국가를 재건하고 국민을 구원하는 역할을 기대할 때에는 소년을 호출하는 남성우월주의를 내면화한 결과이다. 가부장적 사고가 팽배해있던 당시의 사회분위기가 소녀보다는 소년을 우월한 위치에 두고 있으며 이러한 발상은 타고난 태생은 어쩔 수 없다는 우생학적이고 계급차별적인 의식에 맞닿아 있다. 일하는 소녀에 비하여 그렇지 않은 소녀가 순진무구하게 그려지는 것 역시 이러한 차별적 사고에서 나온 부차적인 효과이다. 일하는 소녀의 저항적인 모습이 간혹 드러나기도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개연성이나 현실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기 보다는 예외적인 상황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일하는 소녀를 형상화하는 대부분의 동화 작가들은 당대의 의식적 규제 속에서 여성담론을 재생산한 것으로 보인다. 광복 이후에 생산되는 식모담론 역시 비화(悲話)와 교화(敎化)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것은 여성 전체를 향한 경계와 교훈을 반복 생산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해방 전 동화에 나타난 일하는 소녀를 재현하는 방식의 편향성은 후대에까지 왜곡된 여성관을 형성하는 데 일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girls who lost families or were having trouble with livelihood often went into the homes of others and became housekeepers caring for babies or assisting housekeeping. This is because with the lack of a country, there was absolutely no social system to save such girls. The working girl discourse would have been formed through various media, but it is noticeably apparent in children’s literature produced based on the similar age group. In children’s stories, the miserable lives of housekeeper girls appear frequently, and this is enough to evoke sympathy from the readers. What is noteworthy here, however,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earance of working girl and non-working girl, or of working girl and working boy.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is because the approach and awareness of the writer changes depending on class and gender. The innocence and daydream of girls with no concerns for livelihood are contrasted with the tragedy of working girls, and the autonomous and independent attitude of working boys contrasts the passive and dependent working girls. The fact that while girls are reproduced, whether working or not, as those who lack the adaptability to reality and should be protected, boys are incarnated as more active than girls reflects the social awareness structure of the era. The lives of girls are used when revealing the miserable lives of people and demanding relief measures in the midst of the lack of a country, and boys are called for when expecting the role of rebuilding the country and saving the people, which is based on the male chauvinism.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which was full of patriarchic thoughts place boys on a superior position compared to girls, and this is in line with the eugenics and class-discrimination ideas that the inborn origins are inescapable. The portrayal of non-working girls as more innocent than working girls is also a side effect coming from such discriminatory ideas. While the resistant spirit of working girls appear time to time, such cases are understood as exceptional rather than accepted as general as they lack probability or practicality. Therefore, most children’s story writers who portrayed working girls only reproduced the discourse within the conscious regulation of the time, and after all contributed to forming a distorted view on women. The housekeeper discourse produced after liberation is also placed between a tragedy and a reformation, and this became the opportunity for repeated production of lessons and boundaries towards the entire women at any time. It can be verified that the biased method of reproducing working girls in pre-liberation children’s story contributes to forming a distorted view on women down to the following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