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취미의 이율배반을 헤겔적으로 변용함으로써 칸트 미학이 현대 예술과 관련하여 지닐 수 있는 의미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창작을 하는 주체인 ‘천재’를 통해 현시되는 ‘미감적 이념’이 ‘취미판단’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요구되는 ‘미감적 이념’과 다르지 않으며, 칸트 미학에서 미감적 이념을 매개로 창작과 감상의 활동은 상호 공속적인 관계를 맺을수 있다. 둘째, ‘어떤 것이 예술인가’ 여부를 판정할 때 발생하는 ‘예술의 이율배반’에서 논쟁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필요한 것은 ‘예술계’이며, 이 점에서 칸트의 미감적 이념과 단토의 예술계는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셋째, 선험성을 지니는 미감적 이념은 실질적으로 논쟁을 수행하는 주체들이 처한 역사적 조건하에서 현실화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칸트의 미학이 적용 가능한 의미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By transfiguring taste’s antinomy into the Hegelia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by examining the meaning that Kant’s aesthetics can have in relation to contemporary art. First, the aesthetic idea that emerges through genius as the subject of creation is not different from it as a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of taste judgment. Thus, in Kant’s aesthetics, the activity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can establish a mutual relationship through an aesthetic idea. Second, it is the ‘artworld’ that is necessary for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in the ‘antinomy of art’ that arises when judging ‘what is art’. In this respect, Kant’s aesthetic idea and Danto’s artworld can be understood in a similar context. Third, the non-empirical aesthetic idea is actualized under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subjects who are practically engaged in controversy. Through this review, we can extend the semantic domain applicable to Kant’s aesth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