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소명의식의 개념을 재조명하여, 소명의식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지금까지의 소명의식에 대한 연구는 선험적으로 형성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조직 내에서의 직급이 시간과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는 조직 구성요소임에 착안하여 직급에 따라 소명의식이 달라짐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직급은 단순히 조직의 직제 상에 표기된 지위뿐만 아니라 경력 개발 측면에서의 사회적 규범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여기서 사회적 규범이란 특정한 직급에 도달하기 위해서 시간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을 투자해야 특정한 직급으로 승진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어떤 개인이 사회적 규범보다 이른 승진인지 아니면 늦은 승진을 했는 지를 측정하여 실제 경험하는 직급 외에 인지적으로 위치한 직급 역시 소명의식 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주장을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의 경력개발단계 및 소속 조직특성의 일관성을 위해서 은행 19개의 211명의 은행원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직급과 소명의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급에 따라 소명의식이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또 코호트 분석을 통해 간접적이지만 소명의식은 직급 코호트에 가변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곧, 소명의식은 사후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소명의식의 사후적 형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띄며, 직업에 대한 의미부여나 센스메이킹에 대한 연구를 소명의식 관점에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revisits the concept of calling, assumed as fixed or ex ante, by examining the possibilities that one’s sense around calling can be changed over time. In particular, given that ranks in organization can represent one’s career achievement as well as his/her work experiences, we argue that the sense of a calling can be dependent on the level of ranks. Drawn from social construction theory, we attempt to reconceptualize rank in organization with the level of rank and the norm-adaptive rank. First, the level of rank can be understood as what an employee has achieved in his/her organization. This sense of achievement with the level of rank can make his/her job more meaningful, reinforcing the sense of a calling. On the other hand, we posit that a particular rank requires time duration, which is either formalized in the promotion ladder or acknowledged as a social norm based on one’s age or work duration. If one gets promoted fast or slow, he/she will violate the social norm. This deviation will influence how employees perceive a calling. As such, whether an employee can adapt to the social norm or not can be another factor to change the sense of a calling. To examine this idea, we surveyed 211 employees in 19 bank and financial companies in Korea. And we investigated how the level of rank and the norm-adaptive rank can influence the sense of a calling. We found two things. First, employees at the higher rank tend to perceive a stronger sense of calling. Second, fast promotion relative to the social norm is likely to collapse a sense of a calling while slow promotion tends to reinforce the sense of a calling. These findings reveal that sense of a calling is neither static nor ex ante, but dynamic and ex post. Our study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illuminate the non-static character of calling. We discuss how we can understand this character of calling and provid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