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최근 소비자들의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해 들어보거나,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모든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Versio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적 통계 값을 산출하였고,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다. 로컬푸드 구매장소는 대형마트/슈퍼, 로컬푸드매장, 친환경식품 구매장소는 대형마트/슈퍼, 친환경식품 전문샵 순으로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로컬 푸드는 과일, 채소 순으로 나타났고, 친환경식품의 경우 채소, 과일의 순서로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푸드를 구매하는 이유 1순위는 “신선하고 품질이 우수할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친환경식품을 구매하는 이유 1순위는 “농약이나 첨가제로부터 안전한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을 들어보고, 구매해본 경험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구매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이 분명히 다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인식에는 두 식품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 교육을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하며, 식품 구매 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in relation to local food and eco-friendly foo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266 consumers who have heard about or purchased local foods and eco-friendly foods centering on Seoul and Gyeonggi–do,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Version 23.0) to generate descriptive statistical value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mplement a Chi-square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urchased local food in large shopping malls, supermarkets, and local food stores, whereas eco-friendly food were usually bought in large shopping malls, supermarkets, and eco-friendly food specialty stores. For local food, consumers bought fruits the most, followed by vegetables, whereas for eco-friendly food, consumers purchased vegetables the most, followed by fruits. The top reason for purchasing local food was its “fresh and high quality,” whereas the top reason for buying eco-friendly food was “safety from pesticides and additive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women, unmarried people and younger people turned out to have more experiences in purchasing local foods and eco-friendly foods compared to men, married people and older people, respectively. Although local and eco-friendly food were completely different concept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onsumers were not able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Consumer education, therefore, should involve defining the two types of food and spreading awareness on local and organic food to help them made the right choices when buying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