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통적인 계층연구는 주로 ‘국가’를 연구의 기본 단위로 한다. 이는 계층 형성과 이동을 기본적으로 한 국가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 도시로의 이주, 가족 배경 등이 개인의 계층이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국제이주에서 볼 수 있듯이 계층이동 전략은 자주국가의 경계를 넘나든다. 그러므로 계층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가 외부의 기회구조를 포괄하는 지구적 관점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계층 연구에 있어서 지구적 관점을 소개 및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구적 관점의 적용을 위해 이 논문에서 계층은 소득계층(전 세계 소득 십분위에서의 위치)으로, 계층 이동은 세계 소득 십분위에서의 위치 이동으로 정의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지구적 관점에서 나타나는 계층이동 경로를 세가지로 개념화한 후, 한국인을 사례로 하여 각 경로별 지구적 수준에서의 소득계층 이동 가능성의 크기를 살펴본다. 또한 한국인과 미국거주 한인을 세계 소득 십분위에 위치시켜 한인의 지구적 수준에서의 계층 위치를 파악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전통적인 계층연구에서 주목해 온 교육, 도시로의 이주, 가족 배경 못지않게 개인이 속한 ‘국가’가 지구적 수준에서는 계층이동의 가능성과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주장한다. 결론에서는 계층연구에 있어서 이러한 지구적 관점이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의한다.


Social scientists in the modernization school argue that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lead societies to “open” societies characterized by equal opportunities and a central importance of individual efforts and achievements in social mobility. They assume, using nation-states as the unit of analysis, that stratification takes place primarily and exclusively within nations. This study, by contrast, perceives stratification and social mobility as processes taking place globally. This global perspective shifts its focus from individual nation-states to global and transnational dimensions. Investigating the income mobility of South Koreans from the global perspectiv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is global perspective can be applied to stratification processes occurring glob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