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Republic of Korea, like many young democratized constitutional republics, faces the challenge of having placed its democratic institutions on top of a bureaucratic structure and culture that throughout most of its modern history was largely constructed to serve non-democratic rulers, whether Japanese colonialists or indigenous authoritarians, who had every reason to mistrust the people and engage in “efficient” governmental practices that benefited the state but generally ignored rights, freedoms and even basic privileges of the people. Thus, a key theme in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has been, and still needs to be, that of administrative reform, to make government agents responsive to the democratically elected public servants and observe the rights of the people, even in common administrative matters. Despite the onset of democracy, the Korean administrative state is relatively strong and has shown a tendency to resist reforms. This paper analyzes key administrative litigation remedies in England,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t uses those leading democratic common law and civil law jurisdictions and bases for establishing international norms with respect to basic administrative litigation remedies that should be found in a democratic state that upholds basic notions of the rule of law. It then overviews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remedies, noting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Most troublingly, while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the “ALA”) specifically provides that certain omissions or inaction(부작위) by Korean administrators provide a basis for judicial appeal, the remedies available in such actions do not provide a clear path towards rectifying the inaction. In Korea, no remedy that can compel a government agency to implement its legal duties, like common law mandamus or German Verpflichtungsklage, is available under present laws and court rulings related thereto. In order to fully protect the rights of Korean litigants under the ALA, Korea should adopt a mandamus-like administrative litigation remedy, similar to those found in England,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한국은 현재 민주화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많은 입헌 공화국들의 상황과 유사하게 국민을 불신할 이유가 다분하고 국가에 이익이 되는 “효율적인" 정부 관행에개입하였으나 자유와 권리 뿐만 아니라 심지어 국민들의 아주 기본적인 권리마저도 등한시하였던 일본 식민주의자들이나 자국의 독재자들 등 비민주적인 통치자들을 위하여 설치된 관료제 구조와 문화 위에 민주적 기관을 두는 것에 대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민주화의 중요 주제는 일반 행정 문제에 있어서도 정부기관이 국민의 권리를 지키고 민주적으로 당선된 공직자에 즉각 대응을하도록 만들기 위한 행정 개혁이라고 할 것이다. 민주주의의 시작에도 불구하고, 한국 행정 정부는 아직도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에 비하여 강력하며, 행정 개혁에 반대하는 부정적인 경향을 보여왔다. 이 논문은영국, 미국 그리고 독일에서 시행되는 주요 행정 소송 구제방안을 분석하고 있다. 민주국가에 필수적이고 법치주의 개념을 지키는 기본적인 행정 소송 구제방안에대한 국제적 표준을 설립하기 위하여 그러한 선두적인 민주적 불문 및 성문법 국가의 선례를 들어 다루었고, 한국 행정소송 권리구제방법의 장단점에 주목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 문제되는 것은, 한국 행정소송법이 구체적으로 행정청의 어떠한 부작위에 대하여는 사법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반면에, 그러한 법에 따라 가능한 권리구제방법은 부작위를 바로잡을 수 있는 명확한 길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현행법 및 관련 판례에 따르면 불문법 국가의 직무집행명령이나 독일의 의무이행소송과 같이 정부기관에 대하여 법적 의무를 이행하도록강제할 수 있는 법적 구제방안이 허용되지 않는다. 현행 행정소송법의 시행 하에서소송당사자의 권리를 완전히 보호하기 위해서는 영국, 미국 그리고 독일의 예처럼직무집행명령과 같은 행정 소송 권리구제방법을 도입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