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정인보의 학문 연원과 조선학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인보 의 학문은 하곡학으로 대표되는 조선후기 전통적 학문체계 위에 중국유학 후 장병린 등 에게 영향을 받은 근대학문의 방법론이 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당시 한중일 삼국의 국학 운동의 흐름과 궤를 같이 한다. 정인보는 전통학문의 전승과정에서 가문의 배경과 함께 하곡학파의 적전을 이음으로 써 일제강점기 조선학에 대한 권위자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1913년 상해에서 문 일평을 통해 장병린의 국학운동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국학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근대 학문체계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후 그는 조 선학에 관한 권위를 통해 일제강점기 조선학운동에서 이론을 제시하고, 해방 후에는 국 학대학의 설립에 관여 하였다. 정인보는 조선후기 상황을 대체로 부정적으로 보았지만, 긍정적인 면도 찾아냈다. 그 것은 바로 ‘구시지학(求是之學)’으로 표현되는 새로운 학풍이다. 정인보가 주장하는 ‘구 시지학’의 핵심은 ‘역산(曆算)’으로, 김육․정제두․최명길․황운대 등은 로 당파도 다르고 시 대도 다르며 각 인물별 특징이 있지만, ‘역산’에 조예가 깊었으며 이들이 각각 주장하는 것이 다르지 않다고 하였다. 역산을 공통분모로 하는 양명(陽明)․경제(經濟)․경세(經世) 이렇게 세 학풍이 전승되었 는데, 이것이 정인보가 주목한 조선학이다. 또한 ‘역산’은 천문․지리․수학 등에 관계되는 것으로, 과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정인보의 이러한 관점은 이후 ‘실학’ 연구자 들에게 선행연구로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This study is written to examine Jeong In­bo's academic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Koreanology. The study of Jeong In­bo can be called a fusion of modern scholarship, was influenced by Jang Byeong­rin, on the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s of late Joseon Dynasty, is represented by Hagokhak. At that time, the flow of the National Studies Movement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the same. He was recognized as an authority on Joseon dynas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succession of traditional scholarship, it is the successor of the Hagok School alo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Soron(小論) scholars' family. In 1913, he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Jang Byeong­rin's National Studies Movement in Shanghai through Moon Il­pyeong. S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Studies Movement and explained it as a modern academic system. After that, he presented the theory of Joseon Studies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fter liberation he wa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Gukhak University. The following is the main thrust of the Joseon Studies Movement Jeong In­bo claimed. He saw the situ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negative in general, but found a positive side. It is a new academic style that is expressed as ‘Gusijihak(求是之學)’. The core of the ‘Gusijihak’ claimed by Jeong In­bo is ‘Yeoksan(曆算)’. He said that Kim Yuk, Jeong Je­du, Choi Myeong­gil and Hwang Un­dae were well aware of the ‘Yeoksan’, and what they claim is not different. They were different from faction and times were different. However, the reality that they insist is not different. Furthermo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ee kinds of scholarship were handed down as Yangmyeong(陽明), economy(經濟), and management(經世) with ‘Yeoksan’ as common denominator. Also, 'Yeoksan’ are related to astronomy, geography, and mathematics,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science. This view of Jeong In­bo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searchers of ‘Silhak(實學)’ as a precedent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