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그간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한 시라고 평가받아온 佔畢齋 金宗直(1431(세종 13)∼1492(성종 23))의 「和陶淵明述酒」(1475.冬)를 성종대의정치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은유로 독해한 것이다. 그 결과 김종직의 평생親友였던 洪貴達(1438(세종 20)∼1504(연산군 10))이 한양 조정에서 겪었던 懷 簡王 祔廟 논쟁이 촉발한 갈등과 문제의식이 이 시의 창작 계기와 내용이라는 시각을 제기하였다. 「和陶淵明述酒」(1475.冬)는 내용 구성에서 보면 서문은 劉裕의 반역을直敍하여 ‘후대의 亂臣賊子를 경계하겠다’는 의지를 特筆하였다. 그리고본문은 東晉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신하[奸臣]의 전횡을 중심으로 압축적으로 썼다. 특히 처음에는 왕을 도왔지만, 이를 계기로 권력을얻게 된 소수의 신하들에 의해 왕권이 제한당할 때, 그것이 결국 君臣의 관계를 전복하고, 滅族과 亡國의 파국을 가져왔음을 경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강렬한 문제의식은 김종직 및 그의 평생 交友인 홍귀달이 연루된 조정의 상황이 중요한 단서였다. 즉, 「和陶淵明述酒」는 1475년(성종 6) 연말, 홍귀달이 예문관직제학으로서 조정에서 격렬하게 경험했던 懷簡王(德宗) 祔 廟를 둘러싼 논쟁이 창작의 계기와 내용을 이루고 있다. 회간왕 부묘의 논점과 그에 사용된 언어들이 「和陶淵明述酒」에서도 비슷한 맥락에서 쓰이고 있음은 그 증거이다. 회간왕 부묘는 이미 역사적으로 정해진 조선 왕의 계보에 ‘새로운 왕을등극시키는’ 일이었다. 부묘 논쟁 시점에서, 懷簡王이 세조의 명에 따라예종보다 먼저 세자로 책봉되었고, 따라서 회간왕은 군주, 예종은 신하의관계였다는 논리가 나타났다. 부묘에 반대했던 홍귀달과 다수 신하들은大統에 따라 역사적으로 이미 정해진 세조-예종-성종으로 이어지는 정통의 위계를 바꿀 수는 없다는 입장에 섰다. ‘실록이 이미 편찬되었다’는 점도 부묘에 반대하는 근거가 되었다. 회간왕을 부묘하는 일은 ‘正位의 계보에 회간왕이 끼어드는[間] 일’이고, 이는 ‘天地와 四時의 질서처럼 절대로바뀔 수 없는 이치를 번복하는 것’이라 표현되었다. 「和陶淵明述酒」는 회간왕 부묘 문제를 표면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 부묘 논쟁이 촉발한 ‘不變의 君-臣의 위계’, ‘奸臣의 존재와 그것이 부를 파국’에 대한 문제의식이 「和陶淵明述酒」에 작동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즉, 「和陶淵明述酒」는 ‘존비가 엄연한 군-신의 위계가 점차로 무너지는’ 상황을 엄격하게 비판하고, 이와 같은 파국이 왕의 뜻에 부응한 소수의 아첨하는 신하가 권력을 전횡하면서 일어난 것임을 분명히말하고자 했다. 「和陶淵明述酒」에 나오는 ‘네 명의 간신’ 중 桓溫과 桓玄 부자는, 회간왕의 부묘에서 ‘성종과 대비에게 아첨하며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任元濬과 任士洪 父子에 대한 은유로 읽힌다. 아첨과 참소로 왕의 신임과 威勢를 얻게 되지만, 동진의 역사가 분명하게 증언하듯, 그들 자신이 권력을 장악하려는 욕망을 갖고 그것이 결국은 국가와 그들 가문의 파국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강렬한 예언과 경계를 담았던 것이다. 「和陶淵明述酒」의 서문은 무오사화의 起禍者들이 이 시를 세조의 찬탈을 빗댄 것으로 일방적으로 몰아갈 만한 표현을 쓰고 있다. 그러나 시 전체의 의미, 시를 썼던 1475년(성종 6) 김종직과 그의 절친 홍귀달의 경험을 통해 확인된 당시의 현실을 조합해 보면, 이것은 동진의 역사에 대한 은유이면서 동시에 1475년(성종 6)에 있었던 회간왕 부묘 사건이 촉발한 성종 치세에 대한 은유였다. 김종직이 「和陶淵明述酒」 서문에서 선언한 바, 은유로 忠憤을 함축한 陶淵明, 그리고 直說의 註疏로 그 은유의 진실을 드러낸 湯漢을 계승하겠다는 의지는 이렇게 해서 완전하게 구현되었던 것이다.


This thesis reads 「Wha-Tao Yuanming Sulju(和陶淵明述酒)」(1475, winter) of Jeompiljae Kim Jong-Jick(1431(Sejong 13)∼1492(Seongjong 23)), which was known as a poem criticizing usurpation of throne by Sejo, through a critical metaphor of political reality in Seongjong period. Key point is that creation motive and contents of the poem were the conflict and a critical mind resulting from Hoiganwang(懷簡王)(Deokjong(德宗)) Bumyo(祔廟) dispute experienced by Hong Gui-Dal(洪貴達)(1438(Sejong 20)∼1504(Yeonsangun 10)) in the Hanyang(漢陽) Court, one of the best friend of Kim Jong-Jick. If 「Wha-Tao Yuanming Sulju」(1475, winter) is seen from composition of content, the introduction specially expressed intention to ‘take a warning of future disloyal group’ by illustrating of YuYu(劉裕)’s rebellion. And, the body text compressively wrote the history from foundation to collapse of Dongjin(東晉) with focusing on droit du seigneur of disloyal subjects. In particular, it cautioned overturn of the relations of sovereign and subject by a few vassals who acquired power through the opportunity when regal power was restricted by them and consequently it brought about extermination of a family and ruination of country even though they helped the king in the first place. Such a strong critical mind was an important clue to the then situation of the royal court in which Kim Jong-Jick and Hong Gui-Dal, one of his literary best friends, were involved. Namely, as for 「Wha-Tao Yuanming Sulju」, argument over Hoiganwang Bumyo intensely experienced by Hong Gui-Dal as Yemungwan-Jikjehak(藝文館-直提學) at the end of 1475(Seongjong 6) was composed of motive and contents of the writing. Evidence is that the point of Hoiganwang Bumyo and the language used therein were also used in similar context in 「Wha-Tao Yuanming Sulju」. Hoiganwang Bumyo was an affair to ‘enthrone a new king’ on pedigree of Joseon(朝鮮) kings historically determined already. Due to occurrence of Bumyo argument, Hoiganwang was earlier proclaimed to the throne pursuant to the Sejo(世祖)’s order than Yejong(睿宗) and therefore, the logic was established that Hoiganwang became a monarch while Yejong was a vassal. Hong Gui-Dal and many vassals who opposed Bumyo were on the position unable to change the legitimate rank of Sejo-Yejong-Seongjong(成宗) historically determined already. The fact that ‘Sillock(實錄) was already compiled’ was also a ground of opposing Bumyo. It was expressed that affair of Hoiganwang Bumyo was ‘an affair for Hoiganwang to break in legitimate pedigree’ and this was ‘a reversal of reason which can be never changed like the order of the earth and the sky[天] as well as four seasons[四時]’. 「Wha-Tao Yuanming Sulju」 does not outwardly treat the affair of Hoiganwang Bumyo. However, it is clear that a critical mind over ‘unchanging rank of sovereign and subject’ and ‘existence of disloyal subject and resultant collapse’ triggered by Bumyo argument operated on 「Wha-Tao Yuanming Sulju」. In other words, 「Wha-Tao Yuanming Sulju」 strictly criticized the situation of ‘gradual collapse of distinct sovereign and subject rank with the high and the low’ and intended to clearly point out the such an end was due to droit du seigneur of power by a few flattering vassals complying with intention of the king. Father and son of Hwanon(桓溫) and Hwanhyeon(桓玄) among ‘4 disloyal subjects’ appearing in 「Wha-Tao Yuanming Sulju」 are interpreted as a metaphor of father and son of Im WonJun(任元濬) and Im SaHong(任士洪) who ‘flattered Seongjong and Daebi[貞熹王后] to play a major role’ in Hoiganwang Bumyo. It expressed a metaphor of strong prophecy and warning that they gained confidence and power of the king through flattery and slander but they had desire to seize power to consequently lead the country to an end as history of Dongjin clearly proved. Introduction of 「Wha-Tao Yuanming Sulju」 used unilateral expression that makers of Muosahwa(戊午史禍) compared this poem with Sejo’s usurpation. However, if we combine the meaning of whole poem with the reality determined through experience of Kim Jong-Jick, and his best friend Hong Gui-Dal in 1475(Seongjong 6) when the poem was written, this is not only an metaphor of Dongjin’s history but also an metaphor of Joseon’s reality in 1475(Seongjong 6). As declared by Kim Jong-Jick in the introduction of 「Wha-Tao Yuanming Sulju」, a will to succeed to Tanghan(湯漢) revealing the truth of the metaphor was completely realized through Tao Yuanming who implied loyal anger and through indicative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