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4년에 도입된 기초연금제도가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에서 2015년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연간자료를 이용하여 기초연금 도입에 의한 성별, 가구유형별상대적 빈곤율과 빈곤갭, 지니계수를 활용한 소득불평등도의 변화정도를산출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기초연금을 공적연금에 의한 변화정도와 비교하여 공적연금과 기초연금이 성별로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기초연금에 의한 빈곤갭과 소득불평등도 감소효과는남성노인보다는 여성노인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적 빈곤율의 변화는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공적연금의 빈곤및 소득불평등도 감소효과는 여성보다는 남성노인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가구유형별로는 노인부부가구에서 공적연금의 빈곤감소 효과가 가장컸다. 여성독거노인가구는 기초연금의 효과는 가장 크고 공적연금의 효과는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공적연금이 여성보다는 남성의 빈곤지위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데 비해, 기초연금은 여성의 빈곤지위 향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민권적 형태의 기초연금이공적연금에 의해 파생된 성별 격차를 완화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초연금이 여성의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고 노후 소득의 성별격차를 완화시키는 데 있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능을 강화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basic pension system on gender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To this end, I calculated and analyzed the degree of change in income inequality using the relative poverty rate, poverty gap, and Gini coefficient by gender, type of household. I used annual data of ‘Household Trend Survey’ from 2013 to 2015. In particular, comparing the basic pension with the degree of change by the public pension, the effect of the public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on gender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overty gap and income inequality decrease by basic pension was greater in the female elderly than in the male elderly, but the change of the relative poverty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lderly men and the elderly women. Second,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in public pensions decreased more in male elderly than in female elderly. Third,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was the largest in elderly couple ’s households. The effect of the basic pension was the largest and the effect of the public pension was the smallest in elderly fem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asic pension system has a greater impact on women’s poverty status than the public pension system. This implies that the citizenship type of basic pension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mitigating the gender gap created by public pen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strengthen institutional functions so that basic pensions can improve women’s economic status and work effectively in reducing gender gap in old-age in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