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lthough start-up firm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resources such as knowledge about potential host countries that can be acquired from experiential learning, some start-up firms have successfully expanded their businesses into foreign markets. Advocating the idea that vicarious learning can contribute to explaining this phenomenon, the authors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and how learning from competitors, network relationships, and leaders enables start-up firms to successfully expand their operations into international markets. Using the knowledge-based view and the contingency theory as underlying frameworks, the authors developed a model that may predict the effects of vicarious learning and contingency factors on international expansion success. The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a comprehensive dataset containing Korean start-up firms’ international accounting information. The sampling frame was Korean start-up firms’ international expansion events from 1998 to 2014. Empirical evidence presents that start-up firms’ vicarious learning from competitors, network relationships, and leaders positively affect their international expansion success. In addition, both market type and expansion strategy moderate some of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 start-up firm should try to learn not only from foreign, domestic, and global competitors experienced in the host-country economy but also from its network relationships and its leaders in order to succeed in the economy.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developed economy institutions and indirect expansion can reduce the importance of vicarious learning in facilitating ventures’ international expansion success.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knowledge extension of two research streams-international business and organizational learning—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icarious learning in the context of start-up firms’ international expansion success. This article is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further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in addition to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신생기업들은 일반적으로 국제화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며, 특히 특정 해외시장에 대한 경험으로부터창출되는 지식 분야에서 비교열위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신생기업들은 국제화뿐만 아니라해외시장에서 상당한 성장을 이룩해왔다. 직접학습이 부족한 신생기업들이 해외시장 개척과 확대에 성공할수 있는 요인은 간접학습의 효과로 볼 수 있다. 신생기업의 국제화에 있어 간접학습 효과의 중요성에도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직접학습의 효과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간접학습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미비하다. 본 연구는 신생기업의 간접학습을 국제화 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가정하면서, 경쟁기업, 제휴기업, 최고경영자로부터의 학습이 어떻게 해외시장의 개척과 확대를 견인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기반이론과 상황이론을 이론적 준거 틀로 삼아 신생기업의 국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으로 간접학습요인의 직접적인 효과와 시장유형과 시장진출 유형의 조절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구축하였다. 이 모형은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신생기업들의 국제화 사건을 분석단위로 하여 여러 2차 자료원천들로부터 추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분석결과 신생기업의 경쟁기업, 제휴기업, 최고경영자로부터의 간접학습은 신생기업의 국제화 성공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장유형은 국내 경쟁기업과 최고경영자로부터의 학습에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지만, 시장진출 전략은 해외 경쟁기업, 국내 경쟁기업, 그리고 최고경영자로부터의학습의 효과를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이 창업 후 국제화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 경쟁기업, 현지 경쟁기업, 글로벌경쟁기업으로부터의 간접학습 뿐만 아니라 제휴기업과 최고경영자로부터의 간접학습이 중요하다는 것을보여준다. 또한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선진국 시장의 여건과 간접적인 시장진출 전략은 신생기업의 국제화성공에 있어 간접학습의 중요성을 감소시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으로부터 신생기업의 국제적 성공에 있어 간접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국제경영과 조직학습 분야의 지식의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이외에도 신생기업의 국제화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및 연구의 한계와 이에 따른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토론하며 결론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