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지표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정의적 성취 특성을 파악하여 수학교육 개선과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규준 집단을 토대로 정의적 특성 측정 결과 해석을 위한 규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과 정의적 특성의 현황을조사하였다. 규준참조 지표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과 정의적 영역 및 하위구인별 실태를 파악한 결과 정의적 영역에서의 성취가 높은 학생은 약 22.6%, 낮은 학생은 약 25.9% 정도였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수학과 영역에서 정의적 성취가 높은 학생은 약 23.6%, 낮은 학생은 약 23.8%로 조사되었다. 주요 인구통계학적 변인별 규준참조 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남학생의 수학과 정의적 특성이 높고,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순으로 정의적 영역이 높았다. 국‧공립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이 사립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정의적 영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교육 관련 교육 정책의 수립과 정의적 특성함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과정에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monitor students' characteristics in affective domainsrelated to Mathematics with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tudy(NAEA). First, norm-based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students' characteristicscorresponding to each indicator were described. The instrument intended to measurestudents’ characteristics in affective domains related to Mathematics consists of foursub-constructs including confidence, value, interest, and motivation. For each of theconstructs, norm-referenced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i.e., high - top 25thpercentile, medium - 26th~75th percentile; low - 76th~100th percentile) by calculatingpercentiles and T scores separate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s a result of theapplication of the norm-referenced indicators, 22.6% and 25.9% of middle school studentswere classified into the high and low groups, respectively. For high school students,23.6% and 23.8% of students were grouped into the high and low groups, respectively. Among the four sub-domains, motivation was the highest and confidence was the lowest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male students have higher affective characteristics than female students. The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in mathematicshave high affec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ies in order to more sophisticate the criterionreferencedindicators and its interpretations and to establish a monitoring plan for the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t the national and school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