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언어와 시간 인식, 헬스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이해 사이의 관련성을 탐구했다. 라이프스타일 형성 과정에서 해당 이슈에 따라 ‘시간’ 속성이 작동하는 방식을 밝히고 개인의 의사결정과 대처 행동의 의사소통 체계에 어떤 변화를 야기하는지를 파악하고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 보건 이슈 및 저축과 소비 등 경제행동과 시간 인식, 언어적 속성으로서의 시간성 사이의 연관 관계를 밝히는 이론적, 실증적 탐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득적 상호작용에 있어서 시간에 대한 다양한 인식이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강한 미래지향 언어’ 국가인 한국 표본과 시간성 인식에 차이 나는 비교문화권 국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강한 미래지향 언어’를 사용하는 한국과 프랑스, ‘약한 미래지향 언어, 즉 현재지향 언어’를 사용하는 독일, 핀란드, 스웨덴 등의 문화권이 건강행동 및 경제행동에서 어떠한 공통점 및 차이점을 보이는가를 분석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orientation and various health behaviors. Futured-language use and future-oriented time perception are proved to make differential influences on not just people’s health issues such as eating, obesity and execises, but also economic and financial issues such as savings and consumption. The results of Korean survey and France survey with Strong Future Time Reference, as well as surveys of Germany-Finland-Sweden etc. with Weak Future Time Reference, shows how these differences in time perspectives can affect people's lifesty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