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에너지 수요관리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에너지절감량 등의 성과를 정량적으로측정하여 정책 효과와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최종 에너지소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부문의 수요관리정책인 ESCO 사업의 에너지절감효과를 분석함과 동시에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ESCO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ESCO 사업의 투자 대비 에너지 절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설비별로는폐열회수설비, 부문별로는 공공부문의 정책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투자 확대와 구성비 변화에 대한 정책 시나리오를 고려한 결과, ESCO 사업을 통한 에너지 절감효과증대를 위해서는 설비별 또는 부문별로 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업부문에 집중되어 있는 ESCO 사업을 공공부문과 건물부문으로 확대하고, ICT 기반을 활용하는 등 시장규모 자체를 확대하는 방안이 동시에 고려된다면 정책 효과 제고에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ergy demand management policy,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performance quantitatively and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on the policy benefit and cos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nergy saving effect of the Energy Service Company (ESCO) project, and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ESCO strategies through policy scenarios analysis. As a result, the ESCO investment for the waste heat recovery facilities and the public sector shows the highest performance on energy saving. According to the policy scenario analysis on market growth and composition ratio, it has been confirmed that efficient ESCO strategy is necessary to increase energy saving effect of ESCO. Hence, the policy effect can be enhanced, if the ESCO project is expanded to the public/building sector or the ICT infrastructure is utilized for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