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많은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도시에서 보낸다.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도래하면서 도시는 확장되었고, 사람들은 끊임없이 도시로 모여들었다. 19세기 중후반 이후로 도시는 주택, 실업, 인종, 이주민, 빈부격차, 교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인류의 도시로의 집중과 도시문제의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이 논문에서는 자본주의의 확장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자본주의의 모순을 도시주택문제에서 찾은 엥겔스 이후 많은 학자들이 마르크스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도시이론을 발전시켜 왔다. 르페브르는 자본주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자본은 스스로 공간을 만들고 확장하는데, 그 중심이 도시라고 주장했다. 도시라는 공간을 통해 자본은 그 한계를 극복한다는 것이다. 르페브르의 연구는 그 동안 시간적 영역에만 머무르던 마르크스 이론을 공간으로 확장했다는 상당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공간을 생산하고 확장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 하비가 르페브르의 연구를 계승하고 구체화하고 발전시켰다. 하비는 ‘건조환경’이라는 독특한 개념을 통해 공간적 확장 통한 자본의 모순 회피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그는 자본은 1차, 2차, 3차에 거쳐 순환한다는 자본순환론을 제기했는데, 평균이윤율의 저하로 궁지에 몰린 자본이 건조환경 즉, 도시, 도로, 항만, 학교, 등의 건설을 통해 모순을 회피하는 단계를 자본의 2차 순환이라고 주장하면서 도시연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다만 2차 순환 역시 위기를 맞게 되고, 3차 순환으로 이어지지만 이 역시 자본주의 공황이라는 단계에 이른다고 결론지음으로써 정치경제학적 도시연구의 한계를 보였다. 이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정치경제학적 도시연구에 조절이론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포디즘적 축적체제의 위기는 포디즘적 조절양식이 더 이상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새로운 조절양식을 통해서 새로운 축적체제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본 논문은 자본주의 모순이 도시를 통해서 회피되고 종국에는 도시에서 파국을 맞이한다는 하비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고, 자본은 새로운 조절양식을 가지고 도시라는 공간 혹은 또 다른 영역을 통해 그 위기를 돌파한다고 논지를 가진다. 포디즘 축적체제 이후 유연적 축적체제와 그에 대응한 조절양식을 통해 나타난 현상 중 하나가 도시 기업주의이고 이를 이론화 한 것이 기업주의 도시론이다. 경쟁을 통한 성장, 개발위주의 정책, 성장연합을 통한 이윤 극대화로 대표되는 기업주의 도시론은 도시를 기업처럼 운영한다는 것이 이론의 핵심이다. 앞서도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기업주의 도시론이 단기간의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것처럼 보일 수는 있으나 종국엔 오히려 자본주의 모순을 심화시킨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포디즘 축적체제 이후 포스트 포디즘 축적체제가 등장했듯이 기업주의적 도시론과 같은 조절양식이 지속된다면 자본주의 모순은 심화되고 자본은 위기를 회피하기 위해 새로운 축적체제를 등장시킬 것이다. 이 논문은 마르크스 이후 정치경제학적 관점의 도시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각 이론들의 적실성과 한계를 다루었고, 이론간의 연속성을 찾고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Many modern people toda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cit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city has expanded as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has come into full swing, and people are constantly gathered in cities. Since the mid-nineteenth century, cities have faced a variety of problems, including housing, unemployment, race, migrant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transportation, and public services. Where is the cause of the concentration of humanity in the city and the cause of the urban problem? In this paper we seek to find its cause in the expansion of capitalism. Since Engels, who found capitalist contradictions in urban housing problems, many scholars have developed urban theory based on Marx’s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order to overcome capitalist contradictions, Lefebre claimed that capital is the center of its creation and expansion. Through the space of the city, capital overcomes its limit. Although Lefebvre's work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extend the Marxian theory that has been in the temporal domain only to space, it has not been able to give concrete details of how the capital produces and expands space. Harvey succeeded, refined and developed the work of Lefebvre. Harvey argues for the avoidance of contradictions of capital through spatial expansion through the unique concept of ‘dry environment’. In particular, he argued that capital circulates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ircles, and the capital circulating in the midst of declining average yields is contradictor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dry environment, ie, cities, roads,, Which is a second cycle of capital. However, the second circulation also became a crisis and led to the third circulation, but it also reached the stage of capitalist panic. In this paper, we propose to introduce the theory of control in political economics urban studi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crisis of the Fordist accumulation system can cope with the new accumulation regime through the new regulatory style, since the Fordism regulatory style is no longer 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capitalism. This paper disagrees with Harvey's claim that capitalist contradictions are avoided through cities and ultimately destroys them in cities, and capital argues that with a new modal form, it breaks through the crisis of a city or another space I have. One of the phenomena that has emerged through the flexible accumulation system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style since the Fordism accumulation system is the urbanism and the theorization of the enterpriseism is the urbanism. It is the core of the theory that the city of corporatism, which is represented by growth through competition, policies based on development, and profit maximization through growth alliances, operates the city as a corporation. As we have seen b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although the business-centered urban theory seems to solve the short-term urban problem, it ultimately deepens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If post-Fordism accumulation system has emerged since the Fordism accumulation system, if capitalism contradiction intensifies and capital accumulates new accumulation system in order to avoid crisis, if control style like enterpriseistic city theory persists. This paper deals with the appropriateness and limitations of each theories through a review of urban studies from the post-Marxian political economics perspective,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y are looking for continuity between 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