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880년대 조선 주재 영국 부영사 칼스와 캠벨의 조선 북부 지역 여행에 담긴 함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그들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과 조러육로장정의 균점 여부를 확인하고, 조선의 광물 자원 현황 조사 및 주로 금광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행을 떠났다. 그런데 육로무역은 운송비용의 증가로 침체하였으며, 영국의 개항장 무역을 위협하지 못하였다. 그런 이유로 영국은 더 이상 조선에 육로장정의 균점을 요구하지 않았다. 한편 칼스와 캠벨은 외국 자본에 의해서만 조선의 광물 자원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광물 자원에 대한 외국의 이권 침탈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제시하였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칼스와 캠벨의 여행은 영국의 경제적 확장의 관점에서 추진된 활동의 결과물이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British Diplomat’s journey in the northern region of Korea(North Korea) during 1880s. W. R. Carles and C. W. Campbell – British vice-consul in Korea - made a journey to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in order to ascertain whether Britain would have equal shares in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ubjects(1882) and Regulations for Overland Trade between Korea and Russia(1889) and the possibility of exploitation of mineral resources – expecially gold. In conclusion, Carles and Campbell went to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to British economic expa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