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타국시장으로 진출할 경우에 본국의 이미지는 타국 소비자들이 해당 기업의 제품을평가․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도 있고, 타국 기업과의 교류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를 국가이미지 효과라 한다. 개인과 조직,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이미지 관리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기업이 상호신뢰를바탕으로 중국기업과의 장기적인 협력을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및 제품이미지가 어떠한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기업이 인식하는 한국 국가이미지 효과를 실증하고, 국가이미지효과에 지역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연구와 차별화를 갖는다. 첫째, 기존의 연구가 주로 일반 소비자(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가이미지 효과를연구했다면, 본 연구는 중국기업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입장에서 한국국가, 한국기업 및 한국 제품에 대해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둘째, 국가이미지 효과가 지역별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중국과 같이 지역별로 상이한 문화적 특성을 보유한 국가의 경우 지역별로도 특정국가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상이하게 형성 및 지각되고, 국가이미지 효과에도 상이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에 응한 중국기업 중 229개사를 표본으로 활용하였고, 지역별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연해 1선 도시(108개 사)와 청두, 우한, 시안, 총칭의 내륙 2선 도시 지역(121개 사)에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Ver. 23과 AMOS Ver.23을 이용하여, 구조모형 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기업인이 인식하는 한국 국가이미지는 한국 기업이미지와 한국제품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 기업이미지는 한국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내륙 2선 지역의 기업일수록 한국 국가이미지가 한국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중국 수출이 정체된 이 시점에서 경쟁이 치열한 1선 도시의 내수시장진출보다는 국가이미지 효과를 활용할 수 있는 청두․충칭 등 2선 도시의 내수시장 진출을 통해 돌파구를찾아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기업이 중국 진출 시 세분화된 지역․고객․가격의 타깃팅 및 포지셔닝이요구되며, 중국기업과 협력하는데 있어서 지역별 차별화 전략을 세워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nationality of company can be an important metric for global customers to evaluate its products and services. This is called as the country image effect. In the Given China’s rapidly changing market and political aspects, the complementary economic and business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ould be a very important strategic choice. South Korea’s companies are required to build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hinese companies as a collaborator on the basis of mutual trust.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Chinese companies and explore how they have the knowledge and about Korean country image and South Korea’s products. Management of such image is getting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organizations, corporates and even the states. This study aims to substantiate the Korean country image effect over the China’s domestic market, and discover the differences in this effect among the regions in China. This study approaches in a different angle from other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country image in China in that it focuses specifically on the Chinese business people and entrepreneurs, rather than ordinary customers whom other studies often researched on. This study aims to see from the Chinese business people’s standpoints on how they assess Korean companies and Korean exports, and if their perception of Korea as a country has affected their standpoints. Secondly, this study aim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orea in different regions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considerable cultural differences among the regions in China, their perceptions on a particular foreign country may also considerably vary. In order to delve into such possibility, this study refers to the data from a KOTRA survey conducted by the local Chinese enterprises. The sample of 229 companies that replied to the survey was used. These 229 companies consist of 108 from the 1st Tier cities including Beijing, Shanghai, and Guangzhou; 121 from the 2nd Tier cities of Chengdu, Wuhan, Xian and Chongqing. We use SPSS 23.0 and AMOS 23.0 to handle the analysis process. The main analytical methods a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cross-group equality constrain model.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untry image of Korea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Korea corporate image and Chinese evaluation of Korean products. Meanwhile, the Korea corporate image no longer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inese evaluation of Korean products. This means our country image has bigger influence than the individual corporate’s image over the sales of Korean products. This implicates the need for a long-term, strategic efforts in national level to improve the Korean country image for the good of corporates. Secondly, Korean country image effects show regional industrial differences. The more the companies are based in the 2nd tier cities, the more influence Korean country image had over the performance and evaluation on Korean produc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more cost effective for Korean businesses to target the 2nd tier markets rather than in the already competition-saturated 1st tier cities of China. In order to realize that, Korean businesses must develop intricate positioning and targeting of places, customers, and prices befitting these regions as well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in order to better cooperate with the local Chinese companie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guidance and empirical evidence for South Korea’s companies used to the Korean country image effect over the China’s domestic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