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 시대는 감성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중요시 되고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시대이며, 색채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특정한 색채를 선택하고 완성된 디자인의 색채를 평가하기 위한 대상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색채 선정에 대한 기준과 연계된 평가의 신뢰성이높지 않으며, 이해당사자들의 공감과 설득을 얻기 힘들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시된 제품의 성공과실패의 요인이 색채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검증도 불가능 하다. 따라서 국내외에서진행된 색채 인지의 배경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구조적으로 범주화 하는 것은 컨셉 구상 단계에서부터 제품 출시 후 제품에 대한 정량적인 고객평가까지 전 영역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진행되었던 색채 인지요인에 대한 내용을 다학제적 관점에서 종합적,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고, 리처드 솔 워먼 (Richard Saul Wurman)의 LATCH 법을 기준으로 구조적인 범주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카테고리(Category)와 위계(Hierarchy) 에 의한 3가지 범주화 결과를 얻었다. 이 세 가지 범주화는 공통적으로는 국내외에서 특정한 제품, 공간혹은 서비스를 사용할 대상을 선정하거나 출시할 디자인들의 색채 선호도 평가를 위한 기준이나 통제요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도 특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인지 요소의 상태에 따른 범주화로써 고정적요인과 가변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적합하다. 두 번째는 배경요인의 관점에 의한 범주화로써주체(자아) 요인과 객체(대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밝히기에 적합하며, 세 번째 위계에 의한 범주화는 개인과 환경의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대상 선정, 디자인 리서치, 선호도 평가, 경쟁력 검증 등에서 신뢰성 있는 기준으로써의 활용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목표로 한 대상에 최적화된 색채를 엄선하고 최종적으로는 훌륭한사용자 경험이 창출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current era is a post-modern era in which the importance of sensitivi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colo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s. However, the criterion for selecting a particular color and evaluating the color of the finished design is unclear. For this reason,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linked with the criteria for color selection is not high enough and it is difficult to gain the empathy and persuasion from stakeholders.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conduct a specific and empirical verification as to whethe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launched product through this process is due to color. Therefore, a structural categorization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ackground factors of color recognition which was implemented in Korea and abroad has values in all areas from concept development to quantitative customer evaluation of products after product launch.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olor recognition factors in Korea and abroad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structural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based on Richard Saul Wurman's LATCH law. Through this, three categorization results by category and hierarchy were obtained. These three categorizations are commonly used as criteria or control factors when selecting a target user who will use specific products, spaces or services in Korea and abroad or evaluating the color preference of designs to be released. Also, while it can be used specifically for individuals, the first is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cognitive elements and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chronic (fixed) factor and the synchronic (flexible) factor. The second is the categorization based on background factor and it is appropriate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 (self) factor and object (target) factor and the categorization by the third hierarchy is suitable for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herent factors of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and the acquire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to utilize it as a reliable standard in object selection, design research, preference evaluation, and competitiveness ve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lors that are optimized for the target are selected through this and ultimately a great user experience is cre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