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현대 서사에서 최소한의 형식적 코드인 장르규약이 어떤 경우에 위반되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의란 무엇인지 검토하는 데 있다. 장르규약이 존재하는 까닭은 텍스트 사이에 일정한 패턴을 공유함으로써 상상을 쉽고 빠르게 전파하기 위함이다. 독자(관객)와의 소통에서 익숙함과 편안함을 주며 경제적 효율 또한 꾀할 수 있기에 대부분의 서사예술 창작자들이 오랜 기간 합의하고 이를 계승해왔다. 그러나 상상력을 제한하는 부작용 또한 적지 않아서, 그에 대한 반동으로 장르규약 위반의 서사가 곳곳에서 생산되고 있다. 손보미는 논리적으로불가능한 상황을 제시하여 ‘화자의 속마음은 화자 자신에 대해 언제나 진실하다’ 는 소설의 장르규약을 의심하도록 만들고, 소설의 해독 작업을 정지에 가깝게 지연시킨다. 다이스케 테라사와는 독립적인 여담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말풍선의 형태는 보편적 기호로 작동한다’와 ‘만화의 등장인물은 주변에서 전개되는 사건이 허구이며 자신이 만화 속 등장인물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는 만화의 가장 중요하고 오래된 장르규약을 조롱한다. 마크 포스터는 관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보조 장치인 내레이션을 주인공에게 들려줌으로써 ‘등장인물은 내레이션과 배경음악을 듣지 못한다’는 영화의 장르규약을 파괴하고 영화 감상에 전제된 관객의 해독 권한을 무화시킨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혼돈의 극한에 이른 형태로서 영원히 인지의 지점을 향해 나아가는 어떤 소통 방식을 지향하며, 새로운 질서를 대안으로 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대 서사의 여러 경계에서 관찰되는 장르규약 위반은 창작-해독 관계를 전환하는 대신 무정부 상태로 이끌어 소통의 본질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장르의 정체성으로 기능해온 관습적 패러다임을 공격하는 자기부정 서사전략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n a genre-code which is a formal code in modern narrative is violated and what the significance of that case is. The reason why genre-code exist is to convey imagination easily and correctly by sharing regular patterns among texts. For a long time, most creators of narrative genres have accepted and succeeded their genre-code because it can make readers(audiences) feel familiar and comfortable, also it is efficient economically. On the other hand it has a number of side effects including limiting imagination, narrative of genre-code violation is created in various parts of the arts as a reaction to those side effects. Son Bo-mi makes a genre-code of fiction ‘A narrator’s thought is always sincere to himself(herself)’ doubtful by showing unexplainable scenes and delay the process of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story. Daisuke Terasawa mocks genre-codes of comics ‘The speech bubble works as universal signs’ and ‘The characters cannot recognize that they are characters of comics’ by causing independent digression cases. Marc Forster destroys a genre-code ‘The characters cannot hear narration and the background music of the movie’ and takes away the right of the audiences for appreciation of the movie by letting the hero hear narration which is an assistive system for helping the audiences to understand movies. These examples mentioned above intends a some special way of communication which is going forward to the point of cognition forever as the summit of chaos, and never suggests new order as an alternative. Therefore violation of genre-code seen in several boundaries of modern narratives is a self-denial narrative strategy for calling the attention to essence of communication by leading to state of anarchy instead of changing the relation of creating and comprehending and for attacking conventional paradigm which is worked as an identity of gen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