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서 역점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는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 추진을위한 도서선정 및 평가방법에 대한 내용검토와 변화성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명백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대상지 선정을 위한 평가방법 분석에서는, 사업 첫해인 2015년도에는 서류평가와 현장평가의 두 가지 방식만으로 진행되었으나 사업 2, 3년차에는 평가방법에 대한 항목이 추가 또는 삭제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평가방법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배점비율 역시 상호 조정되고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서류평가의 경우 소폭에서 유지되고 있는 반면 현장평가의 평가비율은 점차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② 세부 평가항목 및 배점비율 분석에서는, 2017년도에 ‘적합성’ 부분만 확대 조정된 것으로 나타나 평가기준으로써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이 파악되었다. 그와는 달리 ‘실현가능성’은 대폭 감소되는 변화가 인지되었다. 10가지 세부 평가항목 중 ‘섬 고유 생태자원’ 은사업 시행년도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배점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섬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한 생태자원의 존재여부가 평가의 주요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③ 2015년도와 2016년도에는 도서지역 마을주민의 역할과 참여가 도서선정을 위한 주요한 가항목 및 평가내용으로 다루어졌었다. 그러나 2017년도에는 관할관청의 지원과 추진의지그리고 지역 균형발전 등에 대한 새로운 평가기준이 추가되고 배점비율이 증가되는 등 명백한변화성향이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selection andevaluation methods used for the project ‘Making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that is being implemented as an emphasis project in Jeollanamdo. The resultsof the study are as follows. ① In 2015, the first year of the project, only two methods of documentevaluation and on-site evaluation were conducted, while in the following twoyears items for evaluation were added or deleted. Score ratios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evaluation ofdocuments was performed without major changes. However, it was found thatthe evaluation rate of on-site evaluation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② In the analysis of sub-items and weghts used for evaluation, it was foundthat only the ‘conformity’ part had been given more weght in 2017, implyingthat its role as an evaluation standard is emphasized. On the contrary, the weightgiven to ‘feasibility’ had been greatly reduced. Among the 10 sub-criteria, ‘island-specific ecological resources’ wasconsistently given the highest weight regardless of the project year. Thistendency confirms that the existence of unique ecological resources on islandsplays a major role in the evaluation. ③ In 2015 and 2016,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village residents in islandswere treated as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contents for islandselection. In 2017, however, new criteria have been added, including the supportand willingness of the responsible authorities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rate of change has been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