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호적은 국가주도로 현재 거주하는 주민이 등록되는 자료이며, 족보는 후손들의 주도하에 그들까지 이르는 선조들의 계보가 기재되는 자료이다. 두 자료는 인물의 신분 정보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며, 인구와 가족의 현실을 도출할 수 있는 공통성을 갖는다. 호적과 족보 모두 개인의 인적사항과 가족관계를 기록하므로 인구와 가족에 관한 분석이 가능한데, 각각 작성되는 의도에 따라 자료적 특성을 달리 한다. 그로 인해 기록은 인구와 가족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호적과 족보 자료에 대해 역사인구학의 연구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의도되지 않은 무작위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통계학적 분석에 합당한 형태로 가공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호적과 족보로부터 인구분석을 위한 ‘인구학적 가족’을 재구성하고, 출산, 사망, 혼인과 관련된 역사인구학적 연구를 시도해본다. 나아가 최소의 말단 사회조직인 ‘현존하는 가족(世帶)’의 추출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이 ‘가족’은 개별 구성원의 인구변동을 계기로 연속적으로 가족형태를 변화시켜나가거나, 혹은 단절된다는 관점에서 관찰한다.


The household registers of Korea recorded residents by government in those days. The genealogies retrospectively recorded information of ancestors by descendants. These materials were related each other as sources providing personal social standing data and showing existence of population and family. So researches for population and family through household registers and the genealogies are possible. However we should apply different methods to these tow materials because they were created in different purpose. As a result the household registers and genealogies do not reveal the reality of the population and family itself. The researchers need to abstract a random sample from household registers and genealogies or to modify the data set as proper data set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this process, we could apply the methodologies of the historical demography to Korean data. I suggested find out the pattern of marriage, child birth and death of historical population of Korea in this paper, by reconstituting the “demographical family”. And I made an attempt to how to extract the “real household” as the smallest social structure. This “family” could be observed in several formations from the viewpoint of transform by demographical event of family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