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과 안동지역 사회주의운동을 선도했던 김남수의 1920년대 활동을 추적한 것이다. 그는 안동지역을 대표하는 청년지식인이자, 시대의 아픔과 현실을 온 몸으로 표출했던 사회주의운동가이다. 1920년대 그의 활동은 ① 안동의 유력한 가문의 종가에서 태어난 신분으로 계몽적 사회주의운동을 열어 나갔으며, ② 서울과 안동에서 활약하면서도 주로 서울에서의 투쟁 경험을 살려 안동지역의 사회운동을 이끌어나갔으며, ③ 그의 활동이 언론과 노동・농민운동을 연결시키는 형태를 보였으며, ④ 그의 활동은 민족운동과 계급운동이 혼합되어 있다는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김남수는 전통 유교의 가치 위에서 사회주의를 받아들였다.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사회주의로의 사상적 전환 과정은 구한말 국권회복을 위한 방안으로 혁신유림들이 수용하였던 의병에서 계몽운동으로의 사상적 전환과 비슷한 형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는 구한말과 식민지 조선의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자라면서 민족해방운동을 몸으로 실천했거나 눈으로 직접 확인한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의 생활태도나 사고방식의 밑바닥에는 성리학의 영향이 아직도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초기에는 일제에 대한 강한 저항적 의식으로 사회주의를 받아들였다면, 그 이후에는 저항의식과 함께 계급모순에 대해서도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는 일제 식민지 지배체제 아래 경제적으로 극심한 착취를 당하고 있는 민족의 현실을 보면서 민족모순과 함께 계급모순에 대해 인식했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그는 민족의 독립을 위한 현실적인 방법론으로 사회주의를 수용하고, 이를 실현해 나갈 실천적 운동을 전개했다. 즉, 새로운 이상향의 실천을 사회주의의 민족해방운동으로 표출하면서 궁극적인 목적은 민족문제(민족해방)를 해결하는 데 방점을 찍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traced the activities of Kim, Nam-Soo in the 1920s, who led the socialistic movement across the country, particularly in the Andong area. He was a young intellectual representing the area of Andong, and also a socialistic activist, who felt and showed the pain and reality of the time as they were. In the 1920s, he led the following movements. Firstly, he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enlightening socialistic activity, though he was born to a noble head family in the Andong area. Secondly, while involved in such movements in Seoul and Andong, he led the socialistic movement in the area of Ando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resistance to the Japanese Occupation in Seoul. Thirdly, his activities l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asantry labor movement and journalism. Lastly, his activities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mixing the national movement and the class movement. Kim, Nam-Soo accepted socialism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From the late 1910s to the 1920s, the conversion of the ideas to socialism developed in a way similar to that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starting from the volunteer army movement, which was accepted as a method of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by Confucian radic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Growing up in the repressive reality of the late colonized Joseon Dynasty, he himself witnessed and practice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e still retained the effects of Confucianism firmly in his living attitudes and at the bottom of his thoughts. Kim, Nam-Soo accepted socialism at the beginning as part of resistance to the Japanese Occupation. Later he began to be aware of class contradiction along with such resistance. He witnessed Koreans economically being exploited harshly under the ruling system of the Japanese Occupation, awakening to class contradiction along with national contradictions. In such an awakening, he accepted socialism as a realistic way of liberating Koreans, developing a practical movement to realize his dream of national liberation. In other words, he expressed his practice of an ideal world in the form of socialism for the ultimate purpose of performing the grand task of national 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