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초등혁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운영및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시사점을 검토함으로써 혁신학교의 발전적 지속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 혁신학교 교사들은혁신학교 운영에 있어 단위학교 및 교사의 자율성 확보, 혁신학교 정책의 성과주의화와 양적확대에 대한 경계를 현안으로 제기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운영상의 현안으로는 교과통합 및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실제적 방안, 그리고 학생평가 기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음이드러났다. 이에 따라 향후 혁신학교는 교육 제주체간 관련 논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쟁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단위학교와 교사의 재량을 지속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원론적논의와 함께 그 실제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단위학교 및 교사 재량의 정도, 정책추진기관과의 관계 설정, 그리고 행정 및 재정적 지원방안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질적 제고를 위해 교과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실제적인지원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취약한 학교군 및 교사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숙련된 혁신학교 교사인력의 재배치 방안, 연수 및 세미나, 교과통합에 대한 가이드라인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혁신학교의 교육적 지향과 교육과정 운영에 부합하는 다양한 학생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와 보급 방안이 시급히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s perception about curricula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Seoul-type innovation schools, and look for suggestion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erally speaking, teachers put emphasis on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 and teacher, risk of meritocracy in Seoul-type innovation school policy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it, practical methods about curriculum integration and implementation, and setting for student evaluation criteria.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ecessity of theoretical and fundamental study and practical methods about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 and teacher, necessity of experienced teachers-rearrangement for curriculum integration & implementation, teacher training and seminar etc., necessity of research and diffusion of student evaluation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