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고에서는 동일본대지진 경험자인 당사자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재해의 경험이나 기억이 어떤 의미에서 역사화되는가에 대한 문제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는 역사와 내러티브의 관련성에 대해 다루어본다. 특히 역사학의 흐름에서 빠질 수 없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에 대한 역사수정주의 방법론의 등장이 갖는 의미를 검토했다. 또한 내러티브(narrative)가 ‘현재적 의미에서 과거를 재현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 역사성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사실로서 존재했던 ‘동일본대지진’과 ‘동일본대지진 내러티브’가 사회적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논리의 문제점을 검토했다. 제3장에서는 내러티브 속에서 나타나는 기억의 재현이 갖는 한계점과 가능성을 고찰했다. 즉, 기억의 재현이라는 것이 사물들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자아를 발견하는 것임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는 새로운 내러티브 텍스트가 발생되어 화자와 청취자의 내부에서 공동으로 발견되는 ‘상호적 자아 내부의 타자성’이라는 제3의 인식이 창출될 가능성을 고찰했다.


In the Japanese earthquake this argument through narrative analysis of the Parties to the disaster experience. And then how to presents what is associated with pre-disaster recovery development of the dictionary. To this end, the first chapter in history and reviewed the relevance of the narrative. Especially individuals who can not fall of experience in the flow of history and review historical revisionism methodology that mean to the excitement about memory. It was a memory for ham to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Post-narrative voice’ the history of the problem. Indicate this is conscious of hot new and memories of past experiences in the narrative in chapter 4 cover ‘substance’ offered logic that must free ourselves from memory. It was a national standpoint, and institutional sharing of historical ‘awareness of transplant’ that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deploying. Is a disaster memory of awareness by ‘human tolerance’ that was made by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