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resident Park Geun-hye popularized the notion of a unification bonanza during the 2014 New Year’s press conference. Visiting Dresden Germany on March 28, 2014, President Park gave a speech dubbed the Dresden Initiative detailing specifics of her unification policy that attempted to restore trus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so-called Trust-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ark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Park government’s Trust-Building Process is that it incorporates many elemen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Thus, Park’s unification policy is more flexible in terms of policy implementation or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Nevertheless, it is regrettable that South Korea’s objective of building a found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is difficult to achieve under structural conditions in which a realist logic dominates. A brief review of South Korea’s unification policy through different administrations reveals that a lack of policy consistency and uniformity is the result of a gap between short-term tasks presented to each administration and medium- to long-term policy objectives. While implementing the Trust-Building Process, the Park administration also had to deal with North Korea’s nuclear and military provocations. These periodic setbacks frustrated the administration’s unification policy momentum. This study also shows that every administration learns from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previous governments. One of the positive things about Park’s Trust-Building Process is that the policy does not rely on any particular strand of extreme ideology, and it has appropriately merged elements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in South Korean politics, and tried to be as mainstream as possible.


2013년 2월 25일 취임한 박근혜 대통령은 2014년 1월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통일대박론’을 제시했고, 동년 2월 25일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 중 하나로 지정하였으며, 2014년 3월 28일 독일 드레스덴 방문 시 남북한 간 신뢰 형성을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드레스덴 구상’을 발표하는 등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현 정부의 통일정책으로 제시하였다. 지난 60년 간 남북관계의 상황을 고려할 때, 역대 한국 정부와 마찬가지로 박근혜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역시 군사안보 차원에서 현실주의적 논리를 항시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이런 면에서 다양한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정책적, 전략적 유연성을 보일 수 있으나 궁극적 목표인 평화통일 기반 구축은 현실주의적 논리가 우선시되는 구조적 상황에서는 성취가 어렵다는 점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역대 한국정부의 통일정책 전개과정을 살펴 본 결과 가장 큰 공통점은 매 정부 마다 단기적 혹은 일시적으로 직면한 과제와 중·장기적 목표 간의 심한 괴리로 인해 통일정책의 지속성·일관성이 결여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박근혜 정부 역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재차 대두되는 북핵문제로 인해 장기적 통일정책의 모멘텀에 제동이 걸리는 안타까운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하지만 또 하나의 특징은 정권 교체 때마다 이전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학습효과가 후임 정부의 정책으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은 전임 정부들의 성공요인들을 나름 적절히 활용하여 융합했다는 점과 특정 이념에 치우치지 않은 정책이라는 점을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