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 제조업 분야의 11개 주요 품목군들을 대상으로 국제생산분할 확산이 무역수지에 대한 환율의 영향력 약화로 이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기간은 1991∼2013년이며, 분석대상 국가는 무역액 비중이 높은 12개 OECD 국가들로 설정하였다. 특히, 산업내무역(IIT)지수에 의존해 온 기존연구와 달리, 본고는 수직적 산업내무역(VIIT)지수를 국제생산분할의 대리변수로 채택하였다. 그 결과, 우선 한국 제조업 분야의 IIT 중 VIIT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한국 제조업 분야에 관한 한 국제생산분할의 대리변수 선택이 심각한 실증분석 결과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을 것임을 예견하게 하였다. 실제로 VIIT지수를 사용한 경우와 IIT지수를 사용한 경우 간의 실증분석 결과는흡사했으며, 비금속광물 및 정밀기기 품목군 이외의 모든 품목군들에서 국제생산분할 심화로 인해 무역수지에 대한 환율의 영향력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학, 일반기계, 전기⋅전자, 수송장비 등 한국 제조업 내에서 무역규모가 큰 상위 4개 품목군들의 경우에는 상대 GDP, 실질환율, 수입가중거리 등다른 무역수지 결정요인들에 대한 추정결과도 이론적 예상과 양호하게 부합하였다. 이는 가급적 무역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산업을 분석대상으로 삼는 것이향후 유사한 후속연구를 위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international production fragmentation has provoked weakening the effect of exchange rate change on trade balance of eleven major product categories in Korea’s manufacturing by adopting VIIT index as a proxy for international production fragmentation, contrary to the previous researches exploiting IIT index. It is confirmed that VIIT secures absolutely high portion of IIT in Korea’s manufacturing. It is no surprise, accordingly, that selection of proxy between IIT index and VIIT may not end up with serious difference in empirical results, as long as Korea’s manufacturing is concerned. In fact, our empirical findings turn out to be compatible with that prediction. More importantly, it reveals that proliferation of international production fragmentation has induced diminishing the effect of exchange rate change on trade balance of all product categories in Korea’s manufacturing except nonferrous metals and precision instruments. In addition, other determinants of trade balance such as relative GDP, real exchange rate, and import-weighted distance have proved to mostly go along with theoretical expectation in top four categories of trade volume in Korea’s manufacturing such as chemistry, machinery,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s, and transportation equipments. This final finding may be interpreted as suggesting that targeting sizable industry, wherever possible, may be important for simila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