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실물활동을 통한 경영자의 이익조정과 이익 및 현금흐름 지속성과의 관계를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경영자가 손실보고를 회피하기 위해 기업의 지출을 재량적으로 삭감하는 경우 기업의 이익 지속성과 현금흐름 지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기업이익은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합으로 구성된다. Hanlon(2005)은 경영자가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시도하는 경우 발생액의 반전현상으로 인해 이익 지속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일한 논리로 경영자가 실물활동을 통해 이익을 조정한다면 이익 지속성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비정상 영업활동은 기회주의적인 이익조정이 아니라 예상되는 미래 경제적 기회에 대한 신호일 수도 있다(Leggett et al., 2009). 이 경우 이익 지속성은 오히려 높아질 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이익조정과 이익 지속성과의 관계는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실제이익조정은 현금흐름을 조정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이익조정이 현금흐름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이 도입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거래소시장에 상장된 2,159개 기업-연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이익조정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 지속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가 실제 자원의 흐름을 왜곡하여 이익을 조정하면 이익 지속성으로 대변되는 이익의 질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둘째, 실제이익조정 기업은 현금흐름 지속성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물활동을 통한 경영자의 이익조정은 기업의 현금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금흐름 지속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이익조정이 발생하는 경우 현금흐름의 왜곡을 불러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이익 및 현금흐름 지속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관련 연구에 공헌점을 가진다. 첫째, 발생액 이익조정뿐만 아니라 실물활동(현금흐름) 이익조정도 이익 지속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둘째, 실제이익조정은 이익 지속성은 물론 현금흐름 지속성도 악화시킨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이익조정이 효과적인 기업가치평가를 저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이익조정이 기업의 영업이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일련의 선행연구와 일관성을 가진다. 실제이익조정으로 인해 이익의 질이 저하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이익조정과 주가 등 기업가치 사이에 음(-)의 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the persistence of earnings and cash flows. Specifically, we investigate how real earnings management affects the persistence of earnings and cash flows when managers reduce discretionary expenditure to avoid a loss. Firms’ earnings consist of cash flows and accruals. Hanlon(2005) finds that managerial accruals earnings management has a negative impact on earnings persistence due to the reversal of accruals. Similarly, the persistence of earnings will decrease when managers manipulate earnings with real activities. However, abnormal operating activities may be a signal of anticipated future economic opportunities rather than opportunistic earnings manipulation(Leggett et al., 2009), which enhances earnings persistenc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earnings persistence needs to be tested empirically. In addition, we also investigate whether real earnings management influences the persistence of cash flows because real management includes the change of cash flows in a firm. Since the introduction of K-IFRS in 2011, we analyzed 2,159 firm-years that are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over the period 2011-2014. Ou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al earnings management firms have less persistent earnings than non-real earnings management firms. This result suggests that earnings quality proxied by earnings persistence decreases when managers manipulate the flow of real resources in firms. Second, real earnings management firms’ cash flows persistence is also lower than that of non-real earnings management firms. This result is interpreted that real manipul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persistence of cash flows becaus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has a direct effect on the firm’s cash flows. Taken together, real earnings management brings about the change of cash flows and, in turn, adversely influences the persistence of earnings and cash flows.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extant literature in the following ways. First,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real earnings management negatively affects the persistence of earnings. Second, our result that real earnings management decreases the persistence of cash flows suggests that real earnings management may hinder equity valuation. Lastly, our result is consistent with a series of research indicating real earnings management has a negative impact on firms’ operating performance, etc. Our result that earnings quality is impaired by real earnings management may be one of the causes addressing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firm valuation(including stock return).